호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糊塗(호도)는“糊(풀 호): 풀칠하다, 흐릿하다”, “塗(칠할 도): 칠하다, 덮다”라는 뜻을 지닌 한자어로, “명확하지 않게 덮어 흐리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이는 분명히 해야 할 것을 애써 감추거나 모호하게 만드는 태도 또는 어리석고 분별 없는 상태를 뜻한다.호도의 뜻과 유래호도의 정의호도(糊塗)는 본래 풀을 칠하여 덮어버린 듯 뚜렷하지 않게 만드는 행위를 가리키며, 점차 사실을 흐리거나 진실을 감추는 언행 또는 어리석고 분별 없는 상태를 의미하게 되었다.의미사실이나 진실을 명확히 하지 않고 흐리게 만드는 것.책임이나 문제의 본질을 피하거나 덮어버리는 태도.때로는 사람의 우둔하고 분별력 없는 상태를 나타내기도 함.사용 맥락정치나 언론에서 진실을 회피하거나 모호한 발언을 할 때.책임을 ..
2025. 10. 19.
지록위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指鹿爲馬(지록위마)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권력을 이용해 억지로 거짓을 참인 양 강요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고의적인 진실 왜곡, 강압적 언론 통제, 권력의 남용 등 다양한 사회적 부조리를 상징하며, 시대를 초월하여 경계해야 할 태도를 상징한다.한자 풀이指(지): 가리킬 지鹿(록): 사슴 록爲(위): 할 위, ~로 여기다馬(마):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유래와 배경지록위마는 《사기(史記)》의 ‘진시황본기’와 ‘이사열전’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진나라의 2대 황제인 호해가 즉위하자, 권력자인 환관 조고(趙高)는 자신의 권력을 시험하고자 사슴을 황제에게 바치며 말했다.“이는 말이옵니다.”황제가 “이건 사슴이 아닌가?”라고 하자, 조고는..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