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찰력2

오리무중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五里霧中(오리무중)은"五(오): 다섯", "里(리): 거리 단위 리", "霧(무): 안개", "中(중): 가운데"라는 글자 그대로,‘오 리(里)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갇힌 듯한 상황’을 뜻하는 고사성어다.이는 앞길이 보이지 않아 방향을 잃고 헤매는 상태, 또는 상황의 전모를 파악하지 못해 판단이 흐려진 상태를 상징한다.오리무중의 뜻과 유래오리무중의 정의오리무중은 앞길이 전혀 보이지 않아 아무 방향도 잡지 못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가리킨다.의미마치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잃은 것처럼 방향이나 목표를 알 수 없는 상태사태의 본질이 불분명하고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을 때정세, 문제, 사건 등이 너무 복잡해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황사용 맥락정치, 경제, 사회 등에서 전망이 불투명할 때수사나 문제 해결 과.. 2025. 10. 16.
문일지십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聞一知十(문일지십)은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매우 총명하여 한 가지를 들으면 그로부터 많은 것을 미루어 짐작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의 지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학습 능력이 뛰어나고, 통찰력이 탁월한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단순한 기억력보다는, 이해력과 응용력, 연역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한자 풀이聞(문): 들을 문一(일): 하나 일知(지): 알 지十(십): 열 십⇒ 하나를 듣고 열을 알다유래와 배경『논어』 「공야장(公冶長)」편에 등장하는 표현이다. 공자가 제자 자공(子貢)을 칭찬하면서 말했다:“賜也, 賜也, 非我之徒也! 小子鳴鼓而攻之可也. 夫賜聞一以知二, 由聞一以知十.”이때 자공은 聞一知二(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수준으로, 아주 총명하지만 그보다 더 .. 2025.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