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종복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面從腹背(면종복배)는"面(면): 얼굴", "從(종): 따르다", "腹(복): 배", "背(배): 등"즉, 겉으로는 따르는 체하지만 속으로는 등을 돌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이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 이중적인 마음가짐을 비판적으로 드러낼 때 사용된다.면종복배의 뜻과 정의면종복배의 정의면종복배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속으로는 반대하거나 배반하려는 마음을 품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속으로는 따르지 않음.내면과 외면이 다른 위선적 태도.배반의 마음을 감추고 기회만 노리는 행위.사용 맥락권력자 앞에서 겉으로는 충성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신을 도모할 때.상사나 윗사람 앞에서 순종하는 말만 하면서 뒤에서는 불평과 비난을 늘어놓을 때.겉치레와 아부로 자리를 지키려는 ..
2025. 9. 10.
표리부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表裏不同(표리부동)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속마음이 다르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신뢰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적 윤리관에서 비롯된 말로, 인간관계나 정치, 사회적 상황에서 자주 언급된다.한자 풀이表(겉 표): 겉모습, 외면裏(속 리): 속마음, 내면不(아닐 부): 아니다, 부정同(같을 동): 같다, 일치하다⇒ 겉과 속이 같지 않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지칭함.유래와 배경‘표리부동’은 고사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지칭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중국의 역사서나 유교 경전, 특히 『논어』와 『맹자』 같은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선과 진정성에 대한 경계로 자주 사용되었다.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언행일치(言行一..
2025. 5. 23.
양두구육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羊頭狗肉(양두구육)은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전혀 다르고, 겉으로는 훌륭해 보이나 실제 내용은 형편없는 상황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 주로 겉치레, 허위 광고, 위선적 행위를 비판할 때 사용되며, 말과 행동이 다른 이중적 태도를 드러낼 때 인용된다.한자 풀이羊(양): 양 양頭(두): 머리 두狗(구): 개 구肉(육): 고기 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팔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전단전(田單傳)」에 따르면, 전단이 적국을 속이기 위해 외형만 거창하게 꾸며 내부의 부실을 감췄던 사례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더 일반적인 해석은 중국 고대 시장에서 상인이 양고기를 파는 것처럼 꾸며 놓고 실제로는 값싼 개고기를 팔아 이익을 취하려 한 행태에서 비롯되었다..
2025.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