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치하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不恥下問(불치하문)은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겸손하게 배우려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이다. 진정한 배움은 체면이나 자존심보다 진리를 향한 열린 자세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일깨워준다.한자 풀이不(아닐 불): 아니다恥(부끄러울 치): 부끄러워하다下(아래 하): 아래, 지위가 낮은 사람問(물을 문): 묻다⇒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음유래와 배경『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에 나오는 구절에서 비롯되었다:子曰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공자가 말하기를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문(文, 훌륭한 사람)이라 이르는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참된 지혜와 인격은 지위나 나이에 관계없이 배움을 구하는 자세에서 비롯됨을 ..
2025. 5. 26.
일취월장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日就月將(일취월장)은 "날마다 나아가고 달마다 자란다"는 뜻으로, 꾸준한 노력과 성실한 태도를 통해 점차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다.일취월장의 뜻과 유래일취월장의 정의본래 의미“日(일): 날”, “就(취): 이루다”, “月(월): 달”, “將(장): 나아가다”로 구성된 이 사자성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근차근 성과를 이루고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뜻한다.사용 맥락학습, 업무, 수양, 기술 습득, 인격 성장 등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진보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특히 교육 현장이나 자기계발의 맥락에서 자주 인용된다.일취월장의 유래『예기(禮記)』 학기편(學記篇)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學然後知不足, 教然後知困。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後能自強也. 故曰敎學相長也. 日就月將, 學不止也"..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