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지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反哺之孝(반포지효)는 자식이 자라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자식이 자라 부모에게 먹이를 되돌려 준다"는 의미다. 효(孝)의 가치를 강조하는 동양 윤리사상에서 자주 인용되는 표현이며, 부모의 은혜를 기억하고 그에 보답하려는 인간의 도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한자 풀이反(반): 되돌릴 반哺(포): 먹일 포之(지): ~의 (문장 연결어)孝(효): 효도 효⇒ "되돌려 먹이는 효도" 또는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심"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고사에 따르면, 까마귀는 어릴 때 부모가 먹여 키우지만, 자라서는 부모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한다. 이처럼 동물조차도 부모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점에서, 인간은 더더욱 효도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이 고사성어는 유교 윤리에..
2025. 5. 14.
오매불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寤寐不忘(오매불망)은 말 그대로 "깨어 있을 때나 자는 동안에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대한 지극한 그리움과 간절한 마음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이다. 대개 사랑하는 이, 부모, 고향, 나라 등에 대한 마음을 말할 때 쓰이며, 오늘날에도 문학적 표현뿐 아니라 일상어에서도 쓰인다.한자 풀이寤(오): 잠에서 깸, 깨어 있음寐(매): 잠듦, 잠자기不忘(불망): 잊지 않음=> 깨어 있을 때나 잠들 때나 항상 잊지 못하다유래와 배경이 성어는 『시경(詩經)』의 소아(小雅) 편에 나오는 표현으로, 나라와 부모에 대한 충절과 그리움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충과 효의 미덕을 중시했으며, 자나 깨나 부모나 임금을 그리워하며 마음을 다짐하는 모습을 가장 숭고한 인간상으로 여겼다.寤言不..
2025. 5. 9.
풍수지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風樹之歎(풍수지탄)은 “風(풍): 바람”, “樹(수): 나무”, “之(지): ~의”, “歎(탄): 탄식, 슬픔”으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글자 그대로는 “바람이 불고 나무가 흔들리는데,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멈추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효도하지 못한 것을 뒤늦게 후회하는 슬픔을 뜻하는 말이다.풍수지탄의 뜻과 유래풍수지탄의 정의본래 의미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효도하지 못하고, 돌아가신 뒤에야 그 후회를 슬퍼함.사용 맥락효(孝)의 중요성을 강조하거나,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한 안타까움과 후회의 표현으로 사용됨.풍수지탄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也”“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