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耳順(이순)은 "耳(이): 귀", "順(순): 순하다, 따르다"라는 글자 그대로, “귀가 순해진다”, 즉 남의 말을 순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나이를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이는 공자(孔子)가 『논어(論語)』에서 자신의 생애 단계를 회고하며 언급한 말에서 유래했다.이순의 뜻과 유래이순의 정의이순은 “남의 말을 들으면 거슬림이 없고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경지”, 즉 마음이 원숙해져 세상의 소리와 타인의 의견을 부드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의미나이 육십을 뜻하는 말.타인의 말이나 세상의 일에 귀를 기울이며 순하게 받아들이는 경지.경험과 인생의 깊이에서 비롯된 관용과 이해의 상징.사용 맥락회갑(回甲) 또는 육십세를 돌이킬 때.인생의 원숙함과 포용력을 비유할 때.인간관계에서 경청과 이해를 중시할 ..
2025. 11. 9.
고장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孤掌難鳴(고장난명)은“孤(고): 외로울 고”, “掌(장): 손바닥”, “難(난): 어렵다”, “鳴(명): 울다, 소리 내다”를 합쳐“한 손으로는 소리를 낼 수 없다”는 뜻이다.이 말은 혼자서는 어떤 일도 완전하게 이루기 어렵고, 협력과 조화가 있어야 비로소 성과가 생긴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고장난명의 뜻과 유래정의고장난명은 협력의 중요성과 관계의 상호성을 강조하는 고사성어이다.의미혼자서는 일을 성취하기 어렵다는 뜻.갈등이나 문제 또한 반드시 양쪽의 작용이 있어야 발생한다는 의미.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서로의 도움 속에서 성장하고 완성된다.사용 맥락공동 작업, 협력 프로젝트,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분쟁 시 어느 한쪽의 책임만을 묻지 않으려 할 때.유래출전은 『논어(論語)』 「안연(顏淵)」편이다.공자가..
2025. 11. 6.
온고이지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은“옛것을 익히고(溫故) 새로운 것을 안다(知新)”는 뜻의 고사성어다.즉, 과거의 지식을 되새기며 그 속에서 새로운 깨달음과 통찰을 얻는다는 의미로,학문과 인생의 기본 태도를 함축한 말이다.온고이지신의 뜻과 유래온고이지신의 정의온고이지신은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복습하고 되짚어봄으로써 새로운 지혜를 얻는다는 뜻이다.의미배운 것을 다시 익혀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 것.전통과 과거를 바탕으로 혁신과 발전을 이루는 자세.지식의 누적과 통찰의 반복을 통해 진정한 ‘지혜’에 이르는 과정.사용 맥락학문, 예술, 과학 등에서 기초를 중시하며 발전을 추구할 때.교육과 리더십 철학을 설명할 때.과거의 경험을 현재에 응용하는 태도를 찬양할 때.온고이지신의 유래이 성어는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서..
2025. 11. 6.
군자삼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君子三樂(군자삼락)은“君(군): 군자”, “子(자): 어진 이”, “三(삼): 셋”, “樂(락): 즐거움”이라는 뜻으로,군자가 누릴 수 있는 세 가지 참된 기쁨을 말한다.이는 겉치레가 아닌, 삶의 뿌리에서 솟는 기쁨이다.세상이 번쩍거려도 마음이 텅 빈 사람은 많다.그러나 군자는 조용히 깊이 웃는다.그 즐거움은 얕은 물결이 아니라, 산 아래 고요히 흐르는 샘물 같다.군자삼락의 뜻과 유래군자삼락의 정의군자삼락은 지식과 덕, 관계와 책임, 세상에 대한 역할에서 비롯한 기쁨을 뜻한다.공자의 『논어』 에서 언급된 고사로, 군자는 이렇게 말한다.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기쁨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고 사람을 대할 때 부끄러움이 없는 것이 두 번째 기쁨천하의 훌륭한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것이..
2025. 11. 4.
종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從心(종심)은 "從(좇을 종): 따르다", "心(마음 심): 마음"이라는 글자 그대로, “마음이 이끄는 대로 따르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주로 자기 내면의 욕망이나 본능을 따르되, 그것이 도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지를 의미한다.종심의 뜻과 유래종심의 정의종심(從心)은 마음의 뜻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하되, 올바름을 잃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이는 단순한 감정의 충동이 아니라, 오랜 경험과 수양을 통해 마음과 도리가 일치한 경지를 말한다.의미내면의 소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행동하는 경지.욕망과 이성이 조화를 이룬 성숙한 상태.도덕적 자각이 완성되어, 억지로 자제하지 않아도 도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삶.사용 맥락나이와 지혜가 무르익어 자기 마음을 스스로 다스릴 수 있을 때.인생의 완숙함이나 도덕적 완성의 단계..
2025.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