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자6

문일지십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聞一知十(문일지십)은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매우 총명하여 한 가지를 들으면 그로부터 많은 것을 미루어 짐작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의 지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학습 능력이 뛰어나고, 통찰력이 탁월한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단순한 기억력보다는, 이해력과 응용력, 연역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한자 풀이聞(문): 들을 문一(일): 하나 일知(지): 알 지十(십): 열 십⇒ 하나를 듣고 열을 알다유래와 배경『논어』 「공야장(公冶長)」편에 등장하는 표현이다. 공자가 제자 자공(子貢)을 칭찬하면서 말했다:“賜也, 賜也, 非我之徒也! 小子鳴鼓而攻之可也. 夫賜聞一以知二, 由聞一以知十.”이때 자공은 聞一知二(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수준으로, 아주 총명하지만 그보다 더 .. 2025. 5. 17.
지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知天命(지천명)은 공자(孔子)가 『논어』에서 말한 인생 단계 중 하나로, 오십 세에 하늘의 명(命)을 깨달았다는 의미이다. 단순히 나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삶과 우주의 이치를 깊이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지혜의 경지를 의미한다. 현대적 관점에서는 '자기 운명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성찰과 수용의 태도'로 해석할 수 있다.한자 풀이知(지): 알 지天(천): 하늘 천命(명): 목숨 명, 운명 명⇒ 하늘의 뜻, 운명을 알다유래와 배경『논어』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이렇게 말한다:“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자립하였으며, 마흔에 의혹이 없었고, 쉰에는 천명을 알았다.”이 구절에서 ‘知天命’은 단지 쉰 살이 되었다는 의미를 넘어서, 자연.. 2025. 5. 16.
교언영색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巧言令色(교언영색)은 듣기 좋게 꾸민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을 의미하며, 겉으로는 공손하고 친절한 듯하지만 속셈은 따로 있는 행동을 경계하는 고사성어다. 이 말은 유교 사상에서 강조하는 ‘진실된 마음과 올바른 행실’을 강조하면서, 외면적 치장과 언어적 화술에만 치중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된다.한자 풀이巧(교): 교묘하다, 기술적이다言(언): 말令(영): 좋게 하다, 기쁘게 하다色(색): 얼굴빛, 표정⇒ "교묘한 말과 좋은 얼굴빛" → 듣기 좋은 말과 아첨하는 태도유래와 배경《논어(論語)》 〈학이(學而)〉 편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巧言令色 鮮矣仁(교언영색 선의인)”“교언영색하는 자는 어질기가 드물다.”공자는 외형적으로는 공손하고 말은 번드르르하나, 그 속에 진실함이나 인(仁)이 담겨 있지.. 2025. 5. 10.
사해지내개형제야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四海之內皆兄弟也(사해지내개형제야)는 "사해(四海)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은 다 형제다"라는 뜻으로, 세상 모든 사람은 이웃이며 서로 도우며 살아야 한다는 이상적 인간관계를 강조하는 고사성어이다.사해지내개형제야의 뜻과 유래사해지내개형제야의 정의본래 의미“四海(사해): 천하, 온 세상”, “之內(지내): 그 안”, “皆(개): 모두”, “兄弟(형제): 형제”, “也(야): ~이다”로 구성되어 있으며,고대 중국 유교의 이상적 사회상을 담고 있다.즉, 국경이나 혈연을 초월하여 인류가 모두 하나의 공동체임을 전제한 세계관이다.사용 맥락인종, 국가, 종교, 이념을 넘어서 보편적 우애와 화합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특히 국제협력, 이민자 문제, 인도적 지원, 세계 평화 등에 대한 담론에서 인용된다.사해지내개형제.. 2025. 5. 8.
온고지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溫故知新(온고지신)은 “溫(온): 되새기다”, “故(고): 옛것”, “知(지): 알다”, “新(신): 새것”으로, 글자 그대로는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안다”는 의미다. 이는 단순한 복습을 넘어,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찰을 얻는 태도를 말한다.온고지신의 뜻과 유래온고지신의 정의본래 의미옛 지식과 경험을 반복하여 익힘으로써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다.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지혜사용 맥락학문과 교육, 리더십, 경영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태도로 언급됨변화가 빠른 사회 속에서 핵심 가치를 지키는 방법으로 활용온고지신의 유래『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말한 내용이다."溫故而知新, 可以為師矣"–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알면, 스.. 2025. 5. 3.
과유불급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過猶不及(과유불급)은 "過(과): 지나침", "猶(유): 오히려", "不(불): ~하지 않다", "及(급): 미치다"의 네 한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지나친 것은 도리어 부족한 것과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모든 일에 있어서 '적절함'이 중요하며, 지나친 열정이나 노력도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균형의 철학을 보여준다.과유불급의 뜻과 유래과유불급의 정의과유불급은 어떤 행동이나 성과가 과도하거나 지나치면 본래의 목적이나 이상적인 상태에서 멀어지게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무엇이든 '적당함'이 최선의 가치라는 동양적 중용 사상을 대표하는 표현이기도 하다.의미지나침은 오히려 모자람보다 못하다.과도한 노력, 관심, 집착이 실패를 불러올 수 있다.중용(中庸)의 중요성, 균형과 절제가 미덕임을 강..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