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회주의2

감탄고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甘呑苦吐(감탄고토)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에 따라 태도를 바꾸는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말이다. 감정이 아닌 이성적 판단으로도 비난받아 마땅한 처신을 가리킬 때 자주 인용된다.한자 풀이甘(감): 달다呑(탄): 삼키다苦(고): 쓰다吐(토): 뱉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유래와 배경감탄고토라는 성어는 특별한 인물이나 사건에서 비롯되기보다, 오랜 시간 동안 인간의 본성과 처세에 대한 통찰로 정착된 표현이다. 그러나 이와 유사한 맥락은 중국의 고대 문헌과 제자백가의 논설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배경으로는 『한비자(韓非子)』의 논변을 들 수 있다. 한비는 법가 사상가로서 인간의 이기적인 본성을 직시했고, 그 본성에 기반해 국가와 권력을 설계해야 한다고.. 2025. 6. 9.
어부지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漁夫之利(어부지리)는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본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어부지리의 뜻과 유래어부지리의 정의본래 의미漁(어): 고기잡이, 夫(부): 사람, 즉 어부, 之(지): ~의, 利(리): 이익고기잡이 어부가 두 존재의 다툼 덕분에 이득을 본다는 비유적 표현이다.사용 맥락양측이 서로 대립하고 소모적인 갈등에 빠진 사이, 제삼자가 실속을 챙기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어부지리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서 유래한다. 당시 조나라와 연나라가 전쟁을 앞두고 있었는데, 소진(蘇秦)이 연왕에게 다음과 같은 비유로 경고하였다.“조나라와 연나라가 싸우는 것은 조개와 도요새가 다투는 것과 같다.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쪼자 조개가 껍질을 닫았고,..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