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방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袖手傍觀(수수방관)은“소매를 끼고 곁에서 구경한다”는 뜻으로,어려움이나 부당한 일을 보면서도 나서서 돕지 않고 방관하는 태도를 비유한 고사성어다.수수방관의 뜻과 유래수수방관의 정의수수방관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고 구경만 하는 태도를 뜻한다.이는 무책임하거나 비겁한 태도, 혹은 냉담한 방관자 의식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의미일을 보고도 손을 쓰지 않음.나서서 해결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공동체적 의무나 정의감이 결여된 냉담한 시선.사용 맥락사회적 불의에 침묵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친구나 동료의 어려움을 알고도 모른 체할 때.공직자나 지도자가 위기 상황에 무대응할 때.수수방관의 유래‘수수방관’은 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표현으로,“袖(소매 수)”는 팔을 끼거나 접어 넣은 모습,“..
2025. 10. 21.
마이동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馬耳東風(마이동풍)은 충고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무시하거나 흘려듣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주변의 조언, 비판, 간곡한 권유가 아무리 강하고 정당하더라도 전혀 반응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의 모습을 가리킨다.한자 풀이馬(마): 말耳(이): 귀東風(동풍):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말의 귀에 동풍이 스쳐 지나가듯, 말해도 소용없는 상황을 의미함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허(李賀)의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에서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는 동풍처럼 간곡한 말도 귀담아듣지 않는 어리석고 무심한 사람을 풍자한 것이다.“東風吹馬耳”–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도 아무 반응이 없듯이를 통해 남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거나, 무관심하게 흘려..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