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만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大器晩成(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나 큰 재능을 지닌 사람은 시간이 오래 걸려 비로소 그 진가를 드러낸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대기만성의 뜻과 유래대기만성의 정의한자 풀이大(대): 크다, 器(기): 그릇, 晩(만): 늦다, 成(성): 이루다본래 의미큰 그릇은 그 형상을 갖추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에서, 인물이나 재능이 탁월한 사람은 단기간에 완성되지 않고, 긴 시간의 경험과 훈련을 통해 완성된다는 뜻이다.사용 맥락조급하게 성과를 바라기보다는, 긴 안목에서 잠재력을 믿고 기다리는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대기만성의 유래『노자(老子)』 제四十一장에서 비롯된 말이다."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큰 그릇은 늦게 완성되고, 큰 소리는 들리지 않으며, 큰 형상은 ..
2025. 5. 8.
우공이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愚公移山(우공이산)은 “愚(우): 어리석다”, “公(공): 노인”, “移(이): 옮기다”, “山(산): 산”으로 구성되며, 문자 그대로는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끈기와 노력으로 불가능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쓰인다.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우공이산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언젠가는 이루어진다는 뜻.사용 맥락장기적 인내와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할 때, 혹은 비현실적이라 여겨지는 목표라도 실현할 수 있음을 말할 때 사용됨.우공이산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인 『열자(列子)』 《탕문편(唐門篇)》에 실린 이야기에서 비롯된다.어느 날, 90세의 노인 우공이 두 산이 집 앞을 가로막고 있어 ..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