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동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千里同風(천리동풍)은“천 리 떨어진 곳에서도 같은 바람을 맞는다”,즉 멀리 떨어져 있어도 마음과 뜻이 하나로 통한다는 여운 깊은 의미를 품은 고사성어다.먼 하늘 아래 같은 바람이 흐르듯,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과 화합이 거리를 넘어 이어질 때 이 표현은 속삭이듯 빛을 드러낸다.千里同風의 뜻과 유래정의천리동풍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마음이 통하고 조화롭게 어울리는 관계를 뜻한다.특히 군신 간의 조화, 국가의 화평, 사람 사이의 깊은 연대 등을 상징하는 말로 쓰여 왔다.유래이 말은 『시경(詩經)』 소아(小雅)편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나라가 평화로울 때 바람도 곧고 음악도 고르게 울린다 하여,천리가 흘러도 온 나라에 같은 바람과 같은 기운이 흐른다는 시적 비유로 표현되었다.당시 사람들은 바람을 정치와 ..
2025. 11. 17.
농장지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弄璋之喜(농장지희)는"弄(농): 가지고 놀다", "璋(장): 옥으로 만든 홀", "之(지): ~의", "喜(희): 기쁨"이라는 뜻으로,아들이 태어난 것을 축하하는 기쁨을 이르는 고사성어다.이는 예로부터 남아의 탄생을 경사로 여긴 전통적 관념에서 비롯된 말이다.농장지희의 뜻과 유래농장지희의 정의농장지희는 아들이 태어났을 때 느끼는 기쁨을 표현한 말로,집안의 큰 경사이자 대대손손 가문의 계승을 의미하는 축하의 표현으로 쓰인다.의미아들의 출생을 축하하는 경사.가문의 대를 이을 아들이 태어난 기쁨.집안의 복과 번영을 상징하는 길한 징조.사용 맥락‘아들을 얻은 기쁨을 축하합니다’의 뜻으로 쓰이는 축사나 문구.출산 카드, 편지, 경사 문장 등에서 자주 사용.농장지희의 유래이 표현은 『시경(詩經)·소아(小雅)·사경(..
2025. 11. 11.
일일삼추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一日三秋(일일삼추)은"一(일): 하나", "日(일): 날", "三(삼): 셋", "秋(추): 가을"이라는 글자 그대로,“하루가 세 번의 가을처럼 길게 느껴진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너무 간절해 하루가 삼년처럼 느껴진다는 뜻으로,그리움과 기다림의 깊이를 시적으로 표현한 말이다.일일삼추의 뜻과 유래일일삼추의 정의일일삼추는 짧은 시간이 끝없는 세월처럼 길게 느껴지는, 간절한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한다.의미하루가 삼년처럼 느껴질 만큼 애타게 기다리는 마음.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 애틋하고 괴로운 상태.시간의 흐름이 감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느껴짐을 비유.사용 맥락연인이 서로 떨어져 있을 때.전쟁, 유학, 출장 등으로 사랑하는 이를 오랫동안 보지 못할 때.기다림과 그리움..
2025. 10. 23.
전전반측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輾轉反側(전전반측)은 마음이 괴롭거나 생각이 많아 밤새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사자성어이다. 육체적 불면을 넘어서 정신적 고통, 사랑의 그리움, 간절한 염원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상태를 상징한다.한자 풀이輾(전): 구를 전 – 몸을 뒤척이다轉(전): 돌 전 – 몸을 뒤치다反(반): 뒤집을 반 – 몸을 뒤로 돌리다側(측): 옆으로 누울 측=> 자리에 누워 이리저리 몸을 뒤척이며 잠들지 못함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시경(詩經)』의 「關雎(관저)」 편에서 유래한다. 고대 중국 주나라 시기에 지어진 이 시에서, 시인은 짝사랑하는 이로 인해 밤새 전전반측하며 고통스러워하는 마음을 노래했다."窈窕淑女,寤寐求之。求之不得,寤寐思服。悠哉悠哉,輾轉反側。""아름답고 참한 그 여인, 자나깨나 그를 구하다...
2025. 5. 9.
오매불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寤寐不忘(오매불망)은 말 그대로 "깨어 있을 때나 자는 동안에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대한 지극한 그리움과 간절한 마음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이다. 대개 사랑하는 이, 부모, 고향, 나라 등에 대한 마음을 말할 때 쓰이며, 오늘날에도 문학적 표현뿐 아니라 일상어에서도 쓰인다.한자 풀이寤(오): 잠에서 깸, 깨어 있음寐(매): 잠듦, 잠자기不忘(불망): 잊지 않음=> 깨어 있을 때나 잠들 때나 항상 잊지 못하다유래와 배경이 성어는 『시경(詩經)』의 소아(小雅) 편에 나오는 표현으로, 나라와 부모에 대한 충절과 그리움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충과 효의 미덕을 중시했으며, 자나 깨나 부모나 임금을 그리워하며 마음을 다짐하는 모습을 가장 숭고한 인간상으로 여겼다.寤言不..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