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시지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晩時之歎(만시지탄)은 말 그대로 '때가 늦었음을 한탄함'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무언가를 하기에 너무 늦었음을 깨닫고 후회하거나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데 쓰이며, 주로 기회를 놓친 후의 회한, 행동이 늦어져 목적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 자주 인용된다.한자 풀이晩(만): 늦을 만時(시): 때 시之(지): ~의 (지시 대명사)歎(탄): 탄식할 탄⇒ “때늦음을 한탄함”이라는 뜻유래와 배경《진서(晉書)》〈유의전(劉毅傳)〉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유의(劉毅)는 진나라 말기 인물로, 조정의 부패와 무능을 지적하고 개혁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가 죽은 후 사람들은 그를 기리며 “유의의 말이 옳았으나 너무 늦게 받아들였다”고 말하며,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는 표현을 남기게 되었다. 이는 시..
2025.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