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언밀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甘言蜜語(감언밀어)는 "甘(감): 달다", "言(언): 말", "蜜(밀): 꿀", "語(어): 말하다"라는 글자 그대로, "달콤한 말과 꿀 같은 이야기"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겉으로는 듣기 좋은 말을 늘어놓아 상대방을 현혹하거나 설득하려는 태도를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감언밀어의 뜻과 유래감언밀어의 정의감언밀어는 달콤한 말로 상대를 현혹하거나 이익을 얻으려는 교묘한 언사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듣기 좋고 유혹적인 말을 늘어놓는 태도.상대방의 판단을 흐리게 하거나 마음을 얻기 위한 수단.겉치레와 아첨으로 진심을 감추는 화술.사용 맥락정치인, 상사, 영업사원이 자신의 의도를 감추고 아첨할 때.친구나 연인이 달콤한 말로 상대를 설득하려 할 때.사기나 속임수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감..
2025. 11. 16.
자격지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激之心(자격지심)은“自(자): 스스로”, “激(격): 자극하다, 일으키다”, “之(지): ~의”, “心(심): 마음”이라는 글 속에서남이 뭐라 말하지 않아도 스스로 마음이 찔려 반응하는 마음, 곧 스스로 죄책감을 느끼고 괜히 부끄러워하는 심리를 가리키는 표현이다.누가 당신을 찌른 것도 아닌데, 마음 한구석에서 가시가 스스로 튀어나와 찌르는 듯한 순간.이 말은 바로 그런 내면의 불청객 같은 민감한 양심의 떨림을 말한다.자격지심의 뜻과 유래자격지심의 정의자격지심은 외부의 비난이나 지적이 아닌, 자기 스스로의 마음에서 일어난 부끄러움과 초조함을 뜻한다.의미남이 뭐라 하지 않아도 스스로 찔리는 마음열등감 혹은 죄책감에서 비롯된 과잉 반응자기 내면의 허약한 곳이 드러나는 순간사용 맥락칭찬 속에서도 비난을 들은 ..
2025. 11. 3.
초록동색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草綠同色(초록동색)은"草(초): 풀", "綠(록): 푸르다", "同(동): 같다", "色(색): 색깔"이라는 글자 그대로,“풀빛과 초록빛은 서로 같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끼리끼리 어울리고, 성격이나 처지가 비슷한 사람끼리 모인다는 의미로 쓰인다.초록동색의 뜻과 유래초록동색의 정의초록동색은 본래 색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에서 출발했지만,점차 성격, 처지, 취향, 신분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서로 잘 어울린다는 의미로 확장되었다.의미성격이나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자연스럽게 모이는 현상.본성, 이해관계가 닮은 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인간관계의 비유.서로 같은 부류의 사람들끼리 편을 짜거나 결속하는 모습.사용 맥락친구 관계나 사회 집단에서 비슷한 사람들끼리 뭉치는 현상.이해관계가 같은 사람들이 서로 돕..
2025. 10. 24.
유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猶豫(유예)는"猶(유): 머뭇거리다, 여전히","豫(예): 미리하다, 결정하다"라는 글자에서 비롯된 말로, “망설이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오늘날에도 흔히 주저함, 불확실함, 선택의 지연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유예의 뜻과 유래유예의 정의유예는 어떤 일을 앞두고 확실한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머뭇거리는 태도를 뜻한다.의미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임.상황을 바로잡지 못하고 주저하는 태도.행동보다는 생각 속에서만 맴도는 불확실한 상태.사용 맥락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시간을 끄는 경우.선택의 기로에서 마음이 왔다 갔다 하는 상황.기회를 잡지 못하고 망설이다 놓치는 경우.유예의 어원‘猶豫’라는 말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 이미 등장한다.『후한서(後漢書)』 등 역사서에는 임금이나 장..
2025. 9. 5.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나 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한자 풀이逆(역): 거스를 역鱗(린): 비늘 린⇒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