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당착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家撞着(자가당착)은 한 사람이 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고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는 상황을 뜻한다. 말 그대로 "스스로 충돌한다"는 의미로,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주장이나, 처음에 한 말과 나중의 말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를 경계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家(가): 자기, 자신撞(당): 부딪치다, 충돌하다着(착): 닿다, 맞다⇒ "자기 말이나 행동이 자기 자신과 충돌하다"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난세편(難勢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초나라에 창과 방패를 파는 장수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방패가 너무나 튼튼하여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고 자랑했고, 이어서 자신의 창은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다고 선전했다. 이를 들은 사람이 "그렇다면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
2025. 6. 8.
자승자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繩自縛(자승자박)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즉, 남의 탓이 아닌 스스로의 실수나 과오로 인해 발이 묶이거나 자유를 잃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충수(自充手)’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繩(승): 줄, 노끈自(자): 스스로縛(박): 묶다, 매다⇒ "자기가 만든 끈으로 자기를 묶는다."유래와 배경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직접적인 고사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선진시대(先秦時代) 문헌인 『장자(莊子)』나 『한비자(韓非子)』 등에서 유사한 사상과 표현들이 등장한다. 이는 인간이 제도를 만들거나 말과 규칙을 앞세우다가 오히려 자신이 만든 것에 스스로 얽매이는 상황을 경계한 지혜에서..
2025.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