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기8

불초지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不肖之徒(불초지도)는"不(불): 아니하다", "肖(초): 본받다", "之(지): ~의", "徒(도): 무리"라는 한자 구성으로,직역하면 “선인(先人)을 본받지 못한 무리”, 즉 스승이나 조상을 닮지 못한 어리석고 불효한 사람들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불초지도의 뜻과 유래불초지도의 정의불초지도는 조상이나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지 못하고 어리석은 행실을 하는 사람들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의미어버이나 스승의 덕을 잇지 못한 자식이나 제자.인격적으로나 능력 면에서 선대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불효하거나 무도한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표현.사용 맥락조상이나 부모의 뜻을 거스르는 자식에 대한 경계로 사용.가문의 명예를 더럽히거나 가르침을 어기는 자를 꾸짖을 때.스스로 겸손하게 자신을 낮출 때도 사용.예: “불초한 .. 2025. 11. 12.
출필곡반필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은 "出(출): 나가다", "必(필): 반드시", "告(고): 알리다", "反(반): 돌아오다", "必(필): 반드시", "面(면): 얼굴을 뵙다"라는 글자 그대로,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올 때는 반드시 얼굴을 뵌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부모에 대한 예(禮)와 효(孝)의 기본 정신을 담은 말로, 집을 나설 때 부모께 알리고, 귀가할 때 얼굴을 뵙는 것이 자식의 도리임을 강조한다.출필곡반필면의 뜻과 유래출필곡반필면의 정의출필곡반필면은 가정의 예절과 효행을 중시하는 유교적 가치관을 상징한다.의미집을 나갈 때 부모에게 반드시 행선과 이유를 알리고, 돌아올 때는 부모께 얼굴을 뵙고 평안함을 전하는 행위.자식의 예의와 책임감을 드러내는 기본 도리.부모와 자식 간의 신.. 2025. 11. 9.
견위수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見危授命(견위수명)은"見(볼 견): 보다", "危(위태할 위): 위험", "授(줄 수): 주다", "命(목숨 명): 목숨"이라는 글자 그대로,"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국가나 공동체가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의 목숨까지도 아끼지 않고 나서는 태도를 가리킨다.한 줄로 말하자면, 위험 앞에서 물러서지 않는 정의의 심장이다.견위수명의 뜻과 유래견위수명의 정의견위수명은 정의를 위해 위험을 감수하며 목숨까지 걸어 헌신하는 정신을 의미한다.의미나라나 공동체가 위기에 처했을 때 책임감을 가지고 앞장섬개인의 안일보다 정의와 공동의 가치를 우선함용기, 희생, 책임의 정수사용 맥락나라를 지키는 군인과 소방관, 위기 상황에 뛰어드는 시민부당한 권력과 맞서 싸우는 정의로운 행동공익을 위해 개인적.. 2025. 11. 4.
부부유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夫婦有別(부부유별)은“夫(부): 남편, 婦(부): 아내, 有(유): 있다, 別(별): 구별”이라는 한자 그대로,“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다”, 즉 남편과 아내는 각자의 역할과 예의가 구분되어야 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단순히 차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분별하는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부부유별의 뜻과 유래부부유별의 정의부부유별은 유교적 가르침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부부 관계의 도리와 질서를 밝힌 개념이다.공자와 맹자의 가르침 속에서, 인간 사회의 근본은 가족이며, 가정의 질서는 사회 질서의 근본이라 보았다.그 중심에 바로 이 ‘부부유별’, 즉 남편과 아내의 역할 구분이 있다.의미부부는 서로 존중하되, 각자의 역할과 책임이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남편은 바깥일.. 2025. 10. 25.
가정맹어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는“苛(가): 가혹하다”, “政(정): 정치”, “猛(맹): 사납다”, “於(어): ~보다”, “虎(호): 호랑이”즉,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라는 뜻의 고사성어다. 이는 폭정(暴政)의 참혹함이 천재지변이나 맹수보다 더 무섭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가정맹어호의 뜻과 유래가정맹어호의 정의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는 가혹한 정치나 부패한 관리의 통치가 백성을 고통스럽게 만든다는 뜻의 고사성어다.의미폭정은 백성의 삶을 파괴하며, 맹수의 위협보다 더 두렵다.백성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정권의 위험성을 경고한다.정치의 본질은 백성의 안녕에 있으나, 그 본질을 잃으면 재앙이 된다.사용 맥락부패한 권력이나 억압적인 정부를 비판할 때.사회의 불공정함이나 부당한 제도를 비유할 때.역사적 사건에.. 2025. 10. 22.
혼정신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昏定晨省(혼정신성)은 저녁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부모의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과 정성을 일상 속에서 실천하는 태도를 상징하는 고사성어이다.한자 풀이昏(어두울 혼): 해가 진 저녁定(정할 정): 정돈하다, 돌보다晨(새벽 신): 아침省(살필 성): 살피다, 돌보다⇒ 저녁에는 잠자리를 돌보고, 아침에는 안부를 묻는다는 뜻유래와 배경『예기(禮記)』의 「단궁하(檀弓下)」편에서 유래한 말로, 효도의 이상적인 실천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표현이다. 유가 전통에서는 ‘효’를 인간 관계의 근본으로 보았으며, 하루의 시작과 끝에 부모를 살피는 것은 단순한 의례를 넘어 일상적인 도덕의 구현이었다.이 고사성어는 겉치레가 아닌 꾸준하고 지속적인 효도의 자세를 강조하며, 단순히 물질적 보살.. 2025.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