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독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牛耳讀經(우이독경)은“牛(우): 소”, “耳(이): 귀”, “讀(독): 읽다”, “經(경): 경문(經文)”이라는 뜻으로,“소의 귀에 경문을 읽는다”, 즉 아무리 이치에 맞게 타이르고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한 사자성어다.이는 듣는 이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들으려 하지 않는 상황을 풍자할 때 사용된다.우이독경의 뜻과 유래우이독경의 정의우이독경은 아무리 가르쳐도 소용이 없는 경우, 혹은 이해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는 사람에게 헛수고하는 행위를 뜻한다.의미아무리 일러주고 설명해도 알아듣지 못함.가르침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함.노력의 헛됨, 말의 무의미함을 상징.사용 맥락꾸준히 충고해도 달라지지 않는 사람에게.배우려는 자세가 없는 제자나 부하에게.진심 어린 조언이 귀담아지지 않을 때.우이독경..
2025. 11. 10.
마이동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馬耳東風(마이동풍)은 충고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무시하거나 흘려듣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주변의 조언, 비판, 간곡한 권유가 아무리 강하고 정당하더라도 전혀 반응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의 모습을 가리킨다.한자 풀이馬(마): 말耳(이): 귀東風(동풍):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말의 귀에 동풍이 스쳐 지나가듯, 말해도 소용없는 상황을 의미함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허(李賀)의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에서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는 동풍처럼 간곡한 말도 귀담아듣지 않는 어리석고 무심한 사람을 풍자한 것이다.“東風吹馬耳”–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도 아무 반응이 없듯이를 통해 남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거나, 무관심하게 흘려..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