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이독경2

우이독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牛耳讀經(우이독경)은 아무리 좋은 말이나 가르침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는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이해력이나 관심이 없는 대상에게 아무리 지혜로운 말을 해도 효과가 없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한자 풀이牛(우): 소耳(이): 귀讀(독): 읽다經(경): 경전⇒ 소의 귀에 경전을 읽는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불교 경전을 읽는 행위가 아무런 감흥도 없는 동물에게는 의미가 없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본래는 불경(佛經)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표현이었으나, 점차 아무리 좋은 말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풍자적 의미로 사용되었다.이와 유사한 표현으로는 『장자(莊子)』에서 나온 “對牛彈琴(대우탄금)”이 있다. 이는 ‘소에게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 2025. 5. 17.
마이동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馬耳東風(마이동풍)은 충고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무시하거나 흘려듣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주변의 조언, 비판, 간곡한 권유가 아무리 강하고 정당하더라도 전혀 반응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의 모습을 가리킨다.한자 풀이馬(마): 말耳(이): 귀東風(동풍):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말의 귀에 동풍이 스쳐 지나가듯, 말해도 소용없는 상황을 의미함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허(李賀)의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에서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는 동풍처럼 간곡한 말도 귀담아듣지 않는 어리석고 무심한 사람을 풍자한 것이다.“東風吹馬耳”–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도 아무 반응이 없듯이를 통해 남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거나, 무관심하게 흘려..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