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정12

도원결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桃園結義(도원결의)은"桃(도): 복숭아나무", "園(원): 동산", "結(결): 맺다", "義(의): 의리"즉, “복숭아동산에서 의형제를 맺다”라는 뜻으로, 진한 의리와 우정을 맹세한 결의(結義)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이는 삼국지(三國志)에서 유래된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가 도원에서 형제의 의를 맺으며 나라와 백성을 위해 함께 싸우기로 맹세한 데서 비롯되었다.도원결의의 뜻과 유래도원결의의 정의도원결의는 피보다 진한 의리와 우정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생사를 함께 할 정도로 굳은 결의로 맺어진 우정을 뜻한다.의미서로 뜻이 맞는 사람들이 굳게 맺은 의형제의 관계.혈연보다 깊은 신의(信義)를 맹세하는 결연(結緣)의 상징.공동의 이상이나 목적을 위해 목숨을 함께 .. 2025. 11. 13.
금란지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金蘭之契(금란지계)는"金(금): 금", "蘭(란): 난초", "之(지): ~의", "契(계): 굳은 맹세, 약속"이라는 글자 그대로,금처럼 굳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과 약속을 뜻하는 고사성어다.말하자면, 마음과 마음이 서로 닿아 평생의 신뢰를 나누는 벗을 가리킨다.금란지계의 뜻과 유래금란지계의 정의금란지계는 변하지 않는 우정, 깨지지 않는 의리, 향기처럼 오래 스며드는 신뢰를 의미한다.의미서로의 마음이 굳고 변치 않는 우정어려울 때 드러나는 진짜 동행오래 함께하며 더욱 깊어지는 신뢰사용 맥락오랜 친구를 표현할 때고난 속에서도 관계가 무너지지 않을 때“말보다 마음”으로 이어지는 인연을 가리킬 때금란지계의 유래금란지계는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 등장한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 2025. 11. 2.
동고동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同苦同樂(동고동락)은"同(동): 함께할 동", "苦(고): 괴로울 고", "同(동): 함께할 동", "樂(락): 즐길 락"이라는 글자 그대로, "괴로움도 함께하고 즐거움도 함께한다"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이는 어려움과 기쁨을 함께 나누는 진정한 동지애나 인간관계의 깊이를 상징하는 말이다.동고동락의 뜻과 유래동고동락의 정의동고동락은 운명을 함께하며 고통도 즐거움도 나누는 관계를 의미한다.특히 동료, 친구, 가족, 연인 사이의 끈끈한 유대와 신의(信義)를 나타낼 때 자주 쓰인다.의미어려울 때나 즐거울 때나 함께한다는 뜻.위기 속에서도 서로를 버리지 않고 끝까지 동행함.인간관계의 충성심, 신의, 동료애를 상징.사용 맥락전우, 친구, 연인 등 서로의 인생을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쓰임.공동체나 조직이 위기.. 2025. 10. 23.
도원결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桃園結義(도원결의)는"桃(도): 복숭아나무", "園(원): 동산", "結(결): 맺다", "義(의): 의리"라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말이다.직역하면 “복숭아 동산에서 의를 맺다”는 뜻으로,서로의 생사를 함께하기로 맹세한 굳건한 의형제의 결의를 상징한다.이 사자성어는 단순한 우정을 넘어 신의와 충성, 의리로 맺어진 관계의 이상적인 형태를 표현한다.오늘날에도 ‘도원결의’는 끈끈한 의리, 변치 않는 우정, 신념의 연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쓰인다.도원결의의 뜻과 유래도원결의의 정의도원결의는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피보다 진한 의리로 맺은 관계를 말한다.이익이나 혈연이 아닌 신의와 도덕적 가치로 연결된 결속을 뜻한다.의미함께 생사를 걸고 뜻을 지키겠다는 맹세.진실한 우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결의.개인.. 2025. 10. 15.
지란지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芝蘭之交(지란지교)는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롭고 고결한 우정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친구 사이의 깊고 맑은 우정, 인격적으로 존경할 수 있는 친구와의 관계를 표현할 때 쓰인다.한자 풀이芝(지초 지): 지초, 향기로운 풀蘭(난초 난): 난초之(갈 지): ~의交(사귈 교): 사귐, 교제⇒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처럼 맑고 고상한 사람과의 우정을 뜻함유래와 배경『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에 등장한다. 공자는 제자 자공(子貢)에게 "지초와 난초가 모이면 향기로우나, 잡초와 어울리면 그 향을 잃는다"고 말하며, 누구와 사귀는지가 인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단지 우정의 고귀함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선한 사람과의 교류가 자신의 품성과 향기를 높인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현대적 의미와 활용1. 깊.. 2025. 6. 7.
붕우유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朋友有信(붕우유신)은 친구 사이에는 신의(信義)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로, 유교 경전인 『논어(論語)』에 나오는 표현이다. 진정한 우정의 기반은 신뢰이며, 친구 관계는 서로를 믿고 의지할 때 성립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한자 풀이朋(벗 붕): 친구, 동료友(벗 우): 벗, 친구有(있을 유): 있다, 가지다信(믿을 신): 믿음, 신뢰, 신의⇒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즉 친구는 서로 신의를 지켜야 한다는 뜻유래와 배경『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에서 공자는 인(仁)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세 가지를 말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붕우유신”이다:“君子務本(군자무본), 本立而道生(본립이도생). 孝弟也者(효제야자), 其為仁之本與(기위인지본여).”“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 2025.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