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내7

수적천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水滴穿石(수적천석)은 작은 물방울이 끊임없이 떨어지면 단단한 바위도 뚫을 수 있다는 뜻으로, 미약한 힘이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마침내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끈기와 꾸준함의 상징적 표현이다.한자 풀이水(수): 물滴(적): 물방울穿(천): 뚫다, 꿰뚫다石(석): 돌⇒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에 기록된 고사에서 유래했다. 동중서(董仲舒)는 한나라 때의 유학자로, 젊은 시절 학문에 열중하던 중 지치고 회의감에 빠졌을 때, 바위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이 오랜 시간에 걸쳐 바위에 구멍을 뚫은 것을 보고 크게 깨달았다. 그는 이를 통해 끈기와 노력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다시 학문에 매진하여 훗날 유학을 국가 이념으로 자리잡게 하는 데.. 2025. 6. 9.
절치부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切齒腐心(절치부심)은 분한 마음을 삭이며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깊은 원한이나 분노를 참고 갈무리하며 언젠가 설욕을 다짐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극심한 좌절이나 분노, 혹은 굴욕적인 상황을 겪은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내하며 스스로를 단련하는 심경을 표현한다.한자 풀이切(자를 절): 자르다, 이를 갈다齒(이 치): 이빨腐(썩을 부): 썩다, 썩게 하다心(마음 심): 마음⇒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분한 감정을 인내하며 속으로 삭인다는 의미.유래와 배경『진서(晉書)』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실패나 치욕을 겪은 인물이 복수를 다짐하며 인내하는 모습에서 비롯되었다. 고전에서는 자주 "절치보심(切齒報心)" 또는 "절치상심(切齒傷心)" 등의 형태로도 등장한다.고대 장수나 충신이 .. 2025. 5. 26.
대기만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大器晩成(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나 큰 재능을 지닌 사람은 시간이 오래 걸려 비로소 그 진가를 드러낸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대기만성의 뜻과 유래대기만성의 정의한자 풀이大(대): 크다, 器(기): 그릇, 晩(만): 늦다, 成(성): 이루다본래 의미큰 그릇은 그 형상을 갖추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에서, 인물이나 재능이 탁월한 사람은 단기간에 완성되지 않고, 긴 시간의 경험과 훈련을 통해 완성된다는 뜻이다.사용 맥락조급하게 성과를 바라기보다는, 긴 안목에서 잠재력을 믿고 기다리는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대기만성의 유래『노자(老子)』 제四十一장에서 비롯된 말이다."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큰 그릇은 늦게 완성되고, 큰 소리는 들리지 않으며, 큰 형상은 .. 2025. 5. 8.
와신상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臥薪嘗膽(와신상담)은 “臥(와): 눕다”, “薪(신): 섶(땔감)”, “嘗(상): 맛보다”, “膽(담): 쓸개”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복수를 다짐하며 고통을 참고 견딘다"는 뜻을 담고 있다.와신상담의 뜻과 유래와신상담의 정의본래 의미원한을 잊지 않기 위해 고통을 스스로 감내하며 언젠가 복수하거나 목적을 이루겠다는 다짐을 뜻한다.사용 맥락역경을 견디며 목표를 향해 묵묵히 나아가는 의지와 결의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와신상담의 유래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句踐)은 오나라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항복하고 포로가 되었다. 오나라 왕 부차(夫差)는 구천을 살려보냈고, 구천은 월나라로 돌아온 뒤 원수를 갚겠다는 일념으로 섶 위에서 잠을 자고, 매일 쓸개의 쓴맛을 맛보며 복수를 다짐했다. 결국 그는 수년 뒤 오나라를.. 2025. 5. 5.
마부위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磨斧爲針(마부위침)은 “磨(마): 갈다”, “斧(부): 도끼”, “爲(위): ~이 되게 하다”, “針(침): 바늘”로 구성된 고사성어로,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의미를 가진다.이는 끈기와 인내, 지속적인 노력으로 결국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마부위침의 뜻과 유래마부위침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힘들고 불가능해 보여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목표를 이룰 수 있음사용 맥락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정진하는 자세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됨마부위침의 유래『태평광기(太平廣記)』에 따르면,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이 젊었을 때 글공부에 싫증을 느끼고 산으로 놀러 가다가, 한 노파가 큰 쇠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본다. 이백이 물으니 노파는 "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겠다"고 대답한다. 이 일화.. 2025. 5. 4.
우공이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愚公移山(우공이산)은 “愚(우): 어리석다”, “公(공): 노인”, “移(이): 옮기다”, “山(산): 산”으로 구성되며, 문자 그대로는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끈기와 노력으로 불가능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쓰인다.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우공이산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언젠가는 이루어진다는 뜻.사용 맥락장기적 인내와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할 때, 혹은 비현실적이라 여겨지는 목표라도 실현할 수 있음을 말할 때 사용됨.우공이산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인 『열자(列子)』 《탕문편(唐門篇)》에 실린 이야기에서 비롯된다.어느 날, 90세의 노인 우공이 두 산이 집 앞을 가로막고 있어 ..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