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갈량4

계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鷄肋(계륵)은 문자 그대로는 '닭의 갈비'를 뜻하지만, 고사성어로는 그다지 실속은 없으나 버리기엔 아까운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사소한 이득이 남아 있어 쉽게 포기하지 못하지만, 그 이득이 실질적으로는 크지 않아서 결단을 망설이게 되는 상황을 함축한다.한자 풀이鷄(계): 닭肋(륵): 갈비⇒ 닭의 갈비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촉한의 유비가 한중 지역을 공격할 당시, 군세가 불리해 퇴각을 고려하던 제갈량은 그 뜻을 암시하기 위해 부하들에게 "오늘의 군량은 계륵이다"라고 하였다. 닭갈비는 먹을 것이 거의 없어 실속은 없지만, 그래도 버리자니 아까운 부위이다. 이 말을 들은 장수 양수는 퇴각 명령이 내려올 것을 직감하고 병사들을 준비시켰다가, 제갈량에게 의심을 받아.. 2025. 5. 14.
담박명지 영정치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澹泊明志 寧靜致遠(담박명지 영정치원)은 마음을 비우고 욕심을 멀리함으로써 뜻을 밝히고, 고요하고 평온한 태도를 지님으로써 멀리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유교적 수양과 정신적 수련의 핵심적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내면의 절제와 통찰을 중시하는 삶의 자세를 강조한다.한자 풀이澹(담): 맑고 담백할 담 – 욕심이 없고 담백함泊(박): 고요할 박 – 물이 잔잔하고 요란하지 않음明(명): 밝을 명 – 분명히 하다, 뜻을 분명히 함志(지): 뜻 지 – 마음속에 품은 뜻, 의지寧(영): 차라리 영 – 순종하다, 편안하다, 오히려 ~하는 편이 낫다靜(정): 고요할 정 – 조용하고 동요하지 않음致(치): 이룰 치 – 도달하다, 이끌다遠(원): 멀 원 – 멀리까지 나아감=> 욕심을 버려 뜻을 분명히 하고, .. 2025. 5. 9.
삼고초려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三顧草廬(삼고초려)는 진정한 인재를 얻기 위해 반복적인 방문과 끈질긴 정성으로 마음을 움직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오늘날에는 유능한 사람을 얻기 위해 진심을 다해 정중히 요청하는 태도 또는 그러한 과정을 의미하며, 성의와 정성을 다하는 인재 영입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한자 풀이三(삼): 세 번顧(고): 찾아가다, 방문하다草廬(초려): 풀로 만든 초가집=> 풀로 엮은 집을 세 번 찾아가다유래와 배경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 나오는 유비(劉備)와 제갈량(諸葛亮) 사이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조조에 대항하기 위해 인재가 절실했던 유비는 세 번이나 제갈량의 초가집을 찾아가 그를 초빙한다. 제갈량은 처음 두 번은 만나주지 않았지만, 유비의 끈질긴 진정성에 감복하여 결국 유비의 군사로 나아가게 된다. 이.. 2025. 5. 9.
읍참마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泣斬馬謖(읍참마속)은 “泣(읍): 울다”, “斬(참): 목을 베다”, “馬謖(마속): 인물 이름”으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공정한 원칙과 대의를 위해 개인적인 정을 버리는 결단을 의미한다.읍참마속의 뜻과 유래읍참마속의 정의본래 의미눈물을 흘리며 사랑하는 사람을 처형한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고 대의를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사용 맥락조직이나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가까운 사람일지라도 공정한 처벌이나 조치를 감행해야 할 때 인용된다.읍참마속의 유래삼국지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제갈량이 북벌을 감행하면서 마속(馬謖)에게 요충지인 가정을 맡긴다. 그러나 마속은 명령을 어기고 요령 없이 산 위에 진을 쳐 적에게 포위당해 참패한다. 제갈량은 마속을 총애했으나, 군율을 세우기 위해 그를 눈물을 머금..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