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弱冠(약관)은"弱(약): 약하다, 젊다", "冠(관): 갓을 쓰다"라는 글자 그대로,“스무 살에 갓을 쓰다”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남자가 스무 살이 되면 성인으로 인정받아 갓을 쓰던 풍습에서 비롯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스무 살의 나이, 또는 청년기의 시작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약관의 뜻과 유래약관의 정의약관은 단순히 나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어른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기 시작하는 출발점을 의미한다.의미스무 살의 나이를 가리키는 말.성년식을 치르고 사회적으로 독립하는 시기의 상징.젊음, 패기, 가능성을 품은 시기의 표현.사용 맥락법적 성년을 맞이한 나이를 표현할 때.사회적 책임을 지고 새로운 길에 나서는 청년을 가리킬 때.젊음의 패기와 이상을 비유할 때.약관의 유래약관의 어원은 중국의..
2025. 9. 6.
명약관화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明若觀火(명약관화)는 "明(명): 밝다", "若(약): ~같다", "觀(관): 보다", "火(화): 불"라는 글자 그대로, "불을 보듯이 밝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진실이나 상황이 극명하여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명약관화의 뜻과 유래명약관화의 정의명약관화는 사실이나 진상이 너무 명확하여 숨길 수 없거나, 누구나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의미상황이나 진상이 아주 분명하여 의심의 여지가 없음.불을 보는 것처럼 명백하게 드러나는 사실.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명확성의 상징.사용 맥락사건의 진상이 명확할 때.논쟁이나 논리적 판단에서 의심할 여지가 없을 때.사회적 문제나 책임 소재가 분명할 때.명약관화의 유래명약관화의 어원은 중국..
2025. 9. 4.
자승자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繩自縛(자승자박)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즉, 남의 탓이 아닌 스스로의 실수나 과오로 인해 발이 묶이거나 자유를 잃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충수(自充手)’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繩(승): 줄, 노끈自(자): 스스로縛(박): 묶다, 매다⇒ "자기가 만든 끈으로 자기를 묶는다."유래와 배경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직접적인 고사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선진시대(先秦時代) 문헌인 『장자(莊子)』나 『한비자(韓非子)』 등에서 유사한 사상과 표현들이 등장한다. 이는 인간이 제도를 만들거나 말과 규칙을 앞세우다가 오히려 자신이 만든 것에 스스로 얽매이는 상황을 경계한 지혜에서..
2025. 6. 8.
진인사대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한 후, 결과는 하늘(자연의 섭리나 운명)에 맡긴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이는 주어진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한 후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담담히 받아들이는 태도를 강조한다.한자 풀이盡(다할 진): 다하다, 극진히 하다人(사람 인): 사람事(일 사): 일, 해야 할 일待(기다릴 대): 기다리다天(하늘 천): 하늘, 운명, 신命(목숨 명): 명령, 운명⇒ “인간의 일을 다한 후,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결과는 신의 영역이니 인간은 자기 몫을 다해야 한다는 태도를 의미함.유래와 배경‘진인사대천명’은 『맹자(孟子)』의 문장에서 비롯된 말이다. 맹자는 “사람이 할 일을 다하고도 일이 안 되면, 하늘의 명을 기다릴 뿐이다”라는 뜻으로 이 말을 ..
2025. 5. 21.
오십보백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는 도망친 거리가 다를 뿐, 결국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사소한 차이를 지나치게 부각하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데 사용된다.한자 풀이五十(다섯 오, 열 십): 50步(걸을 보): 걸음, 도망가는 거리百(일백 백): 100步(걸을 보): 같은 의미의 반복⇒ “50보 도망친 자나 100보 도망친 자나 도망친 것은 매한가지다.”유래와 배경『맹자(孟子)·양혜왕(梁惠王) 상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양혜왕이 맹자에게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를 묻자, 맹자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며 설명했다.전쟁터에서 병사들이 적을 보고 모두 도망치는데, 어떤 이는 100보를, 어떤 이는 50보를..
2025.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