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탄고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甘呑苦吐(감탄고토)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에 따라 태도를 바꾸는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말이다. 감정이 아닌 이성적 판단으로도 비난받아 마땅한 처신을 가리킬 때 자주 인용된다.한자 풀이甘(감): 달다呑(탄): 삼키다苦(고): 쓰다吐(토): 뱉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유래와 배경감탄고토라는 성어는 특별한 인물이나 사건에서 비롯되기보다, 오랜 시간 동안 인간의 본성과 처세에 대한 통찰로 정착된 표현이다. 그러나 이와 유사한 맥락은 중국의 고대 문헌과 제자백가의 논설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배경으로는 『한비자(韓非子)』의 논변을 들 수 있다. 한비는 법가 사상가로서 인간의 이기적인 본성을 직시했고, 그 본성에 기반해 국가와 권력을 설계해야 한다고..
2025. 6. 9.
문전성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門前成市(문전성시)는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라는 뜻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매우 많아 집 앞이 마치 시장처럼 북적이는 상황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특히, 인기가 높거나 권세가 있을 때 주변에 사람들이 몰려드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한자 풀이門(문): 문 문前(전): 앞 전成(성): 이룰 성市(시): 시장 시⇒ 집 문 앞이 사람들로 붐벼 마치 시장처럼 되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장탕전(張湯傳)」에 나오는 표현으로, 한나라의 관리 장탕이 권세를 떨칠 때 그의 집 앞이 찾아온 손님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장탕이 실각하자, 그 많던 방문객들이 자취를 감추었고, 당시의 상황을 “문전성시(門前成市)”와 “문전참라(門前斬蘿)”로 대비해 표현했다. 이 일화는 인간관계의 이해득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
202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