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미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前代未聞(전대미문)은"前(전): 앞, 이전", "代(대): 시대", "未(미): 아직 ~않다", "聞(문): 듣다"즉, “이전 시대에는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이는 역사상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새로운 일이나 놀라운 사건을 표현할 때 쓰인다.전대미문의 뜻과 유래전대미문의 정의전대미문은 이전 시대에는 전혀 없던 일, 전례가 없는 사건이나 사상, 현상을 뜻한다.이 표현은 보통 극히 이례적이고 충격적인 일이나, 혹은 획기적이고 새로운 일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의미역사상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일.전례가 없는 대사건, 혹은 독창적인 새로운 일.놀라움과 경악, 혹은 혁신을 담은 표현.사용 맥락재난, 사고, 정치적 혼란 같은 초유의 사건에 대해.예술, 과학, 기술 등에서 전무후무한 성취를 표현..
2025. 10. 27.
환골탈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換骨奪胎(환골탈태)는 낡고 잘못된 것을 완전히 뜯어고쳐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뼈대를 바꾸고 본질까지 탈바꿈하는 근본적 개혁과 재창조를 의미한다.한자 풀이換(바꿀 환): 바꾸다骨(뼈 골): 뼈奪(빼앗을 탈): 빼앗다胎(태 태): 태아의 형상, 형체⇒ 뼈를 바꾸고 형체를 바꾸다 – 외형뿐만 아니라 내면까지 새롭게 변화시키는 일유래와 배경《당서(唐書)》에 따르면, 당나라 시인 이하(李賀)의 문장은 기존 시의 형식을 뛰어넘는 혁신적 표현으로 평가되었고, 후대 문학가들이 이를 두고 “환골탈태의 경지”라고 찬양했다. 이는 고전을 모방하되 단순한 표절이 아닌 본질을 새롭게 빌어 창조하는 경지를 말한다.이후 문장뿐 아니라 사람이나 제도, 사물의 근본적인 개혁..
2025. 6. 5.
수주대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守株待兔(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우연한 행운에 기대어 수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옛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수주대토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守(수): 지키다株(주): 그루터기待(대): 기다리다兔(토): 토끼유래 배경《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송나라 농부가 밭을 갈던 중, 우연히 달려오던 토끼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는 힘든 농사보다 이런 행운을 다시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다음 날부터는 농사를 그만두고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히길 기다린다.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오지 않았고, 그는 농사도 망치고 생계도 끊기고 말았다...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