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무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眼下無人(안하무인)은 “眼(안): 눈”, “下(하): 아래”, “無(무): 없다”, “人(인): 사람”이라는 한자 구성으로,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 곧 “주위의 사람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이는 오만하고 독선적인 태도를 강하게 비판하거나 풍자할 때 사용된다.안하무인의 뜻과 유래안하무인의 정의안하무인은 자신보다 남을 낮게 보고 무시하며, 예의나 배려 없이 거만하게 행동하는 태도를 지적할 때 쓰이는 말이다.의미타인을 깔보며 교만한 언행을 일삼는 태도.자신만 옳다는 오만한 사고방식.겸손을 잃고 사회적 질서를 무시하는 행위.사용 맥락권력을 가진 자가 주변을 무시할 때.사회적 지위에 올라 거만해진 인물에게.타인의 입장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함부로 행동할 때.안하무인의 유래안하..
2025. 6. 15.
백년하청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百年河淸(백년하청)은 “百(백): 백 년”, “年(년): 해”, “河(하): 황하강”, “淸(청): 맑다”라는 한자를 글자 그대로 읽은 말로, “황하가 맑아질 때까지 백 년을 기다린다”, 즉 아무리 기다려도 상황이 호전되지 않는 헛된 희망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백년하청의 뜻과 유래정의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거나 극히 낮은 상황오랜 시간 기다려도 결코 바뀌지 않는 상태공허하거나 믿기 어려운 약속에 대한 냉소 표현사용 맥락행정·제도 개혁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때사람의 성격이나 태도 변화에 대한 헛된 기대플랫폼 오류 같은 시스템 개선이 요원할 때유래황하는 진흙과 모래가 많아 맑아질 가능성이 희박한 강이었기에, “황하가 맑아질 때까지 기다린다”는 비유는 이룰 수 없는 기다림을 뜻하는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백..
2025. 6. 14.
입춘대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立春大吉(입춘대길)은 "立(립): 서다, 시작하다", "春(춘): 봄", "大(대): 크다", "吉(길): 길하다"라는 뜻의 한자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로, "입춘에 크게 길하라", 즉 봄이 시작되는 시점에 모든 일이 순조롭고 길하게 풀리기를 기원하는 말이다.입춘대길의 뜻과 유래입춘대길의 정의입춘대길은 절기상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맞이하여 새해의 복과 번영을 기원하는 축원구(祝願句)다. 고사성어라기보다는 전통 민속어로서의 관용적 표현에 가깝다.의미봄의 시작과 함께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기원.계절의 전환점을 맞아 집안에 복을 부르고 액운을 막는 의미.연초에 길운을 비는 길상문(吉祥文)의 대표적인 표현.사용 맥락입춘(양력 2월 3~5일 무렵)에 대문이나 기둥에 써 붙여 가정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궁..
2025. 6. 14.
각자도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各自圖生(각자도생)은 "各(각): 각각", "自(자): 스스로", "圖(도): 꾀하다", "生(생): 살다"라는 글자 그대로, "각자가 제 살 길을 꾀한다"는 의미를 담은 고사성어다. 이는 공동체나 협력보다는 개인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각자도생의 뜻과 유래각자도생의 정의각자도생은 공동의 위기나 어려운 상황 속에서 협력보다는 각 개인이 자신의 생존을 도모하는 태도를 뜻한다.의미어려운 상황에서 공동의 대안 없이 개인이 독자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위기 상황에서의 무질서한 생존 본능의 표출.조직이나 사회의 연대가 무너지고 개인주의가 팽배한 상태.사용 맥락재난, 전염병, 전쟁과 같은 비상사태에서 나타나는 인간 행동 양상.정치적, 경제적 위기에서 국가나 조직의..
2025. 6. 14.
동문서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東問西答(동문서답)은 "東(동): 동쪽", "問(문): 묻다", "西(서): 서쪽", "答(답): 대답하다"라는 글자 그대로, "동쪽을 물었더니 서쪽을 대답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질문과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을 하는 상황을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동문서답의 뜻과 유래동문서답의 정의동문서답은 질문자의 의도나 맥락을 무시한 채 전혀 다른 주제나 관점으로 응답하는 태도나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질문과는 무관한 엉뚱한 답변을 내놓는 태도.대화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회피하려는 방식.질문자와 대답자 사이의 소통 단절 또는 이해 부족의 상징.사용 맥락회의나 토론 중 의도적으로 질문을 회피할 때.아이가 어른의 질문에 엉뚱하게 반응할 때.상대방이 문제의 본질을 모르거나 무시할..
2025. 6. 13.
후안무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厚顏無恥(후안무치)는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도덕적 규범이나 사회적 양심을 어기고도 전혀 수치심을 느끼지 않을 때 쓰인다. 현대 사회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말로, 특히 정치·경제·사회 분야의 부도덕한 인물이나 사건을 비판할 때 강한 어조로 사용된다. 단순히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부끄러워해야 할 상황에서조차 오히려 당당한 태도를 취하는 파렴치한 상태를 이른다. 인간의 최소한의 양심과 도덕적 기준을 벗어난 이들의 행태를 지적할 때, 이 표현만큼 적확한 사자성어는 드물다.한자 풀이厚(후): 두껍다顏(안): 얼굴, 낯無(무): 없다恥(치): 부끄러움⇒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염치없는 뻔뻔함을 표현한다.유래와 배경‘후안무치’라는 표현은..
2025.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