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독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牛耳讀經(우이독경)은“牛(우): 소”, “耳(이): 귀”, “讀(독): 읽다”, “經(경): 경문(經文)”이라는 뜻으로,“소의 귀에 경문을 읽는다”, 즉 아무리 이치에 맞게 타이르고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한 사자성어다.이는 듣는 이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들으려 하지 않는 상황을 풍자할 때 사용된다.우이독경의 뜻과 유래우이독경의 정의우이독경은 아무리 가르쳐도 소용이 없는 경우, 혹은 이해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는 사람에게 헛수고하는 행위를 뜻한다.의미아무리 일러주고 설명해도 알아듣지 못함.가르침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함.노력의 헛됨, 말의 무의미함을 상징.사용 맥락꾸준히 충고해도 달라지지 않는 사람에게.배우려는 자세가 없는 제자나 부하에게.진심 어린 조언이 귀담아지지 않을 때.우이독경..
2025. 11. 10.
이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耳順(이순)은 "耳(이): 귀", "順(순): 순하다, 따르다"라는 글자 그대로, “귀가 순해진다”, 즉 남의 말을 순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나이를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이는 공자(孔子)가 『논어(論語)』에서 자신의 생애 단계를 회고하며 언급한 말에서 유래했다.이순의 뜻과 유래이순의 정의이순은 “남의 말을 들으면 거슬림이 없고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경지”, 즉 마음이 원숙해져 세상의 소리와 타인의 의견을 부드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의미나이 육십을 뜻하는 말.타인의 말이나 세상의 일에 귀를 기울이며 순하게 받아들이는 경지.경험과 인생의 깊이에서 비롯된 관용과 이해의 상징.사용 맥락회갑(回甲) 또는 육십세를 돌이킬 때.인생의 원숙함과 포용력을 비유할 때.인간관계에서 경청과 이해를 중시할 ..
2025. 11. 9.
천려일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千慮一得(천려일득)은"千(천): 천 번", "慮(려): 생각하다", "一(일): 하나", "得(득): 얻다"즉, ‘천 번의 생각 중에 한 번은 옳은 것이 있다’라는 뜻이다.비록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많은 생각 중에는 한두 가지 옳은 생각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타인의 의견을 함부로 무시하지 말아야 함을 일깨우는 고사성어다.천려일득의 뜻과 유래천려일득의 정의천려일득은 비록 평소에는 어리석거나 실수가 많더라도, 여러 번 생각하다 보면 그중 하나쯤은 옳은 판단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의미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깊이 생각하면 옳은 생각을 할 수 있다.남의 의견도 경청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실수 속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는 통찰을 포함한다.사용 맥락타인의 아이디어나 조언을 무시하지 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2025.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