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명구2

오십보백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는 도망친 거리가 다를 뿐, 결국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사소한 차이를 지나치게 부각하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데 사용된다.한자 풀이五十(다섯 오, 열 십): 50步(걸을 보): 걸음, 도망가는 거리百(일백 백): 100步(걸을 보): 같은 의미의 반복⇒ “50보 도망친 자나 100보 도망친 자나 도망친 것은 매한가지다.”유래와 배경『맹자(孟子)·양혜왕(梁惠王) 상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양혜왕이 맹자에게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를 묻자, 맹자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며 설명했다.전쟁터에서 병사들이 적을 보고 모두 도망치는데, 어떤 이는 100보를, 어떤 이는 50보를.. 2025. 5. 19.
안빈낙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安貧樂道(안빈낙도)는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평온함을 유지하고 도(道)를 즐기며 살아가는 자세를 뜻하는 고사성어다. 외적인 풍요보다는 내적인 평안과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며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한자 풀이安(편안할 안): 편안하다貧(가난할 빈): 가난하다樂(즐길 락): 즐기다道(길 도): 도리, 도덕, 진리⇒ "가난함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며 도를 즐긴다"는 의미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주로 유교적 성현의 삶에서 자주 등장한다. 특히 공자와 맹자, 그리고 조선시대의 선비들이 가난 속에서도 도(道)와 학문, 인격 수양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살아가는 삶을 예찬할 때 사용되었다. ‘안빈낙도’는 단순한 청빈을 넘어서, 외부의 조건에 휘둘리지 않고 내면의 평정과 도덕을 지키는 이상적인 삶을 말한다.현대적 의.. 2025.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