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수2

인면수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人面獸心(인면수심)은“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짐승의 마음을 지녔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온화하고 인간답지만 속마음은 잔혹하고 비정한 사람을 지칭하는 사자성어다. 이 말은 웃음 뒤의 칼날, 친절 뒤의 그림자를 꿰뚫어 보는 듯한 냉혹한 통찰을 품고 있다.인면수심의 뜻과 유래인면수심의 정의인면수심은 인간의 외양을 지녔으나 마음은 잔인하고 의리가 없으며, 인간다운 정과 도리가 결여된 사람을 비유한다.의미사람의 탈을 쓰고 있으나 속은 짐승보다 못한 인물상식과 도덕을 깨뜨리는 잔혹한 행동타인의 고통을 외면하는 무정한 태도사용 맥락배신, 폭력, 패륜 등 인간성이 무너진 행동위선적 미소로 남을 속이거나 해를 끼치는 상황정서적·도덕적 파탄을 드러내야 할 때인면수심의 유래고대 중국의 문헌에서는 사람의 얼굴을 하고 짐승.. 2025. 11. 17.
禽獸 금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禽獸(금수)는 새와 짐승, 즉 동물을 뜻하는 말이지만, 인격적으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잃은 자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본래는 동물 전반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였으나, 도덕심이 결여된 사람에 대한 비난의 의미로 발전하였다.한자 풀이禽(새 금): 날짐승, 조류獸(짐승 수): 들짐승, 야수⇒ 곧 "금수"는 조수(鳥獸) 전체, 즉 짐승을 뜻하는 말이다.유래와 배경『맹자』의 진심장(盡心章)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人之異於禽獸者幾希(인지이어금수자기희)”"사람이 금수(禽獸)와 다른 것은 거의 없다." 맹자는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는 도덕심(仁義)에 있다고 보았다. 이 말은 인간이 인의(仁義)를 잃으면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즉, ‘금수’는 사람의 탈을 썼으나 도덕심이 없는 자를 .. 2025.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