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경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有志竟成(유지경성)은 "뜻이 있는 사람은 마침내 이루어낸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어떤 일이든 결국 성취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주로 강한 목표의식과 불굴의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한 사람의 삶을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有(유): 있다志(지): 뜻, 의지竟(경): 마침내, 결국成(성): 이루다=> "뜻이 있으면 마침내 이루어진다"는 직역으로, 의지와 집념이 있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표현한다.유래와 배경유지경성은 고사에 뚜렷하게 등장하는 인물보다도, 중국 고대의 경서나 역사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교훈적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사마천의 《사기》, 유교 경전 등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성공한 사례들과 함께 이 사자성어의 정신이 반복..
2025. 5. 8.
형설지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螢雪之功(형설지공)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끈기 있게 공부하여 마침내 성공에 이른 노력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특히 공부나 학문에서 성공한 사람의 과거 고생을 회상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부는 환경이 아니라 의지의 문제'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한자 풀이螢(형): 반딧불雪(설): 눈之(지): ~의功(공): 공로, 성과=> '반딧불과 눈으로 이룬 공로'라는 뜻으로, 불빛이 없는 밤에 반딧불이나 눈빛에 의지해 글을 읽으며 공부한 노력을 상징한다.유래와 배경1. 車胤(차윤)의 반딧불 이야기진(晉)나라 때 차윤(車胤)이라는 인물은 집이 가난하여 등불조차 켤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공부에 대한 의지가 매우 강했기에 여름밤이면 반딧불을 모아 그 빛으로 책을 읽었다. 이를 "형화독서(螢火讀書)"라 ..
2025. 5. 8.
정신일도 하사불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精神一到 何事不成(정신일도 하사불성)은 "정신이 한 곳에 도달하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온 힘과 정성을 집중하면 어떤 일이든 반드시 성취할 수 있다는 신념과 노력의 가치를 강조하는 고사성어이다.한자 풀이精神(정신): 마음과 의지, 에너지의 총체一到(일도): 하나로 집중됨, 도달함何事(하사): 무슨 일不成(불성): 이루지 못함=> "정신이 하나로 모아지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라는 의미유래와 맥락이 표현은 특정한 고사에서 비롯되기보다는, 중국 고전 문헌이나 유학 경전에서 노력과 집중, 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자주 사용된 문구다. 특히 조선 시대 학자들이 즐겨 사용한 문장으로, 자기 수양과 학문, 도덕적 완성을 위한 좌우명으로 삼았다.이 문장은 일..
2025. 5. 8.
수주대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守株待兔(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우연한 행운에 기대어 수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옛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수주대토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守(수): 지키다株(주): 그루터기待(대): 기다리다兔(토): 토끼유래 배경《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송나라 농부가 밭을 갈던 중, 우연히 달려오던 토끼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는 힘든 농사보다 이런 행운을 다시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다음 날부터는 농사를 그만두고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히길 기다린다.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오지 않았고, 그는 농사도 망치고 생계도 끊기고 말았다...
2025. 5. 8.
마부위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磨斧爲針(마부위침)은 “磨(마): 갈다”, “斧(부): 도끼”, “爲(위): ~이 되게 하다”, “針(침): 바늘”로 구성된 고사성어로,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의미를 가진다.이는 끈기와 인내, 지속적인 노력으로 결국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마부위침의 뜻과 유래마부위침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힘들고 불가능해 보여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목표를 이룰 수 있음사용 맥락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정진하는 자세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됨마부위침의 유래『태평광기(太平廣記)』에 따르면,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이 젊었을 때 글공부에 싫증을 느끼고 산으로 놀러 가다가, 한 노파가 큰 쇠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본다. 이백이 물으니 노파는 "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겠다"고 대답한다. 이 일화..
2025. 5. 4.
낭중지추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囊中之錐(낭중지추)는 “囊(낭): 주머니”, “中(중): 속”, “之(지): ~의”, “錐(추): 송곳”으로 구성된 고사성어로,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이다.즉, 아무리 감추어도 뛰어난 재능이나 본성은 드러나기 마련임을 비유한다.낭중지추의 뜻과 유래낭중지추의 정의본래 의미재능 있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됨사용 맥락능력을 숨기거나 억눌러도 드러나는 인물이나 재능을 설명할 때 인용됨낭중지추의 유래『후한서(後漢書)』 「군국지(郡國志)」에 등장하는 고사에 따르면, 한나라 말기의 인물인 가규(賈逵)는 어려운 시기에도 학문을 닦고 조용히 지냈지만, 결국 그의 재능이 드러나 조정에서 중용되었다.이 일화에서 “주머니 속에 송곳을 넣으면 그 끝이 밖으로 튀어나오듯, 유능한 사람은 저절로 드러나..
2025.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