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螢雪之功(형설지공)은“螢(형): 반딧불이”, “雪(설): 눈”, “之(지): ~의”, “功(공): 공로, 노력의 결과”라는 뜻으로,“반딧불이 빛과 눈빛으로 공부한 공”, 즉 가난과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학문에 정진하여 성공을 이룬 노력의 결실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형설지공의 뜻과 유래형설지공의 정의형설지공은 가난한 환경에서도 학문에 대한 열정과 성실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 끝내 큰 성취를 이루는 것을 가리킨다.의미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학업에 전념하여 성공한 노력의 결과.근면, 성실, 인내의 상징.배움의 의지를 잃지 않는 자가 결국 빛을 본다는 교훈.사용 맥락학업에 전념하는 학생을 칭찬할 때.역경을 극복하고 목표를 이룬 사람을 비유할 때.노력과 인내의 가치를 강조할 때.형설지공의 유래이 고사는 중국 진(晉..
2025. 11. 12.
단기지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斷機之戒(단기지계)는 "斷(단): 끊다", "機(기): 베틀, 기계", "之(지): ~의", "戒(계): 경계, 경계하다"라는 글자 그대로, "베틀의 줄을 끊고 배움의 중단을 경계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학문이나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는 것을 경계하고 끝까지 꾸준히 배우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단기지계의 뜻과 유래단기지계의 정의단기지계는 배움의 도중에 게으름이나 방심으로 학문을 중단하지 말라는 교훈적 의미를 지닌 성어이다.의미학업이나 수행을 중도에 포기하지 말라는 경계.꾸준한 노력과 인내의 중요성을 상징.배움의 끈을 놓으면 미래의 성취를 잃을 수 있다는 경고.사용 맥락학생에게 학업의 지속성을 강조할 때.자기계발이나 직업적 성취를 위한 꾸준한 노력을 권할 때.학문적 또는 예술적 수행에서 중도 포기..
2025. 9. 6.
수불석권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手不釋卷(수불석권)은 글자 그대로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의미로, 끊임없이 공부하거나 독서에 열중하는 태도를 상징하는 고사성어이다. 학문에 대한 갈망과 노력, 그리고 부단한 자기 계발의 자세를 함축한다.한자 풀이手(손 수): 손不(아닐 불): ~하지 않다釋(풀 석): 놓다, 풀다卷(책 권): 책⇒ 책을 손에서 놓지 않다, 곧 쉬지 않고 공부하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의 「순욱전(荀彧傳)」에 등장하는 표현이다. 후한(後漢)의 유학자 순욱은 늘 손에 책을 들고 다니며, 잠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이 모습에서 비롯된 표현이 바로 ‘수불석권’이다.“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 항상 배우기를 즐겼다.”이는 단순한 독서 습관을 넘어, 학문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집념을 상징하는 말로 발전하였다.현..
2025. 5. 27.
유지경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有志竟成(유지경성)은 "뜻이 있는 사람은 마침내 이루어낸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어떤 일이든 결국 성취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주로 강한 목표의식과 불굴의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한 사람의 삶을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有(유): 있다志(지): 뜻, 의지竟(경): 마침내, 결국成(성): 이루다=> "뜻이 있으면 마침내 이루어진다"는 직역으로, 의지와 집념이 있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표현한다.유래와 배경유지경성은 고사에 뚜렷하게 등장하는 인물보다도, 중국 고대의 경서나 역사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교훈적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사마천의 《사기》, 유교 경전 등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성공한 사례들과 함께 이 사자성어의 정신이 반복..
2025. 5. 8.
형설지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螢雪之功(형설지공)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끈기 있게 공부하여 마침내 성공에 이른 노력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특히 공부나 학문에서 성공한 사람의 과거 고생을 회상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부는 환경이 아니라 의지의 문제'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한자 풀이螢(형): 반딧불雪(설): 눈之(지): ~의功(공): 공로, 성과=> '반딧불과 눈으로 이룬 공로'라는 뜻으로, 불빛이 없는 밤에 반딧불이나 눈빛에 의지해 글을 읽으며 공부한 노력을 상징한다.유래와 배경1. 車胤(차윤)의 반딧불 이야기진(晉)나라 때 차윤(車胤)이라는 인물은 집이 가난하여 등불조차 켤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공부에 대한 의지가 매우 강했기에 여름밤이면 반딧불을 모아 그 빛으로 책을 읽었다. 이를 "형화독서(螢火讀書)"라 ..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