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6

여조삭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如鳥數飛(여조삭비)는 "如(여): 같을 여", "鳥(조): 새", "數(삭): 자주", "飛(비): 날다"라는 네 글자 고사성어로, "새가 자주 날아오르듯이 끊임없이 연습하라"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다. 이는 지속적인 반복과 꾸준한 노력이 학문이나 기술의 향상을 이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여조삭비의 뜻과 유래여조삭비의 정의여조삭비는 학문이나 기술을 익히는 데 있어 반복과 지속의 중요성을 강조한 고사성어로, '노력의 비유적 표현'으로 널리 사용된다.의미학습이나 수련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으며, 지속적 반복이 필요함.새가 날기 위해 수차례 날갯짓을 하듯, 노력 또한 쉬지 않고 이어져야 함.사용 맥락공부나 훈련을 장기적으로 지속해야 할 때.포기하지 않고 한 가지 기술이나 실력을 키워나갈 때.연습과 실천이 성공.. 2025. 6. 20.
禽獸 금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禽獸(금수)는 새와 짐승, 즉 동물을 뜻하는 말이지만, 인격적으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잃은 자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본래는 동물 전반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였으나, 도덕심이 결여된 사람에 대한 비난의 의미로 발전하였다.한자 풀이禽(새 금): 날짐승, 조류獸(짐승 수): 들짐승, 야수⇒ 곧 "금수"는 조수(鳥獸) 전체, 즉 짐승을 뜻하는 말이다.유래와 배경『맹자』의 진심장(盡心章)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人之異於禽獸者幾希(인지이어금수자기희)”"사람이 금수(禽獸)와 다른 것은 거의 없다." 맹자는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는 도덕심(仁義)에 있다고 보았다. 이 말은 인간이 인의(仁義)를 잃으면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즉, ‘금수’는 사람의 탈을 썼으나 도덕심이 없는 자를 .. 2025. 5. 23.
중과부적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衆寡不敵(중과부적)은 많은 수(무리)는 적은 수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현실적인 전력 차이나 세력 차이 앞에서는 아무리 용기나 전략이 있어도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주로 상황의 열세나 객관적인 불리함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전략적 판단과 실리를 중시하는 유교적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한자 풀이衆(무리 중): 많다, 다수寡(적을 과): 적다, 소수不(아닐 부): 아니다, 불가능하다敵(대적할 적): 맞서다, 대항하다⇒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은 맞서 싸울 수 없다", 즉 다수에 소수가 맞서면 불리하다는 의미.유래와 배경『맹자(孟子)』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맹자가 전쟁의 본질과 승패에 대해 설명하며 언급했다. 그는 병법이나 용맹이 아무리 뛰어나도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을.. 2025. 5. 23.
진인사대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한 후, 결과는 하늘(자연의 섭리나 운명)에 맡긴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이는 주어진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한 후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담담히 받아들이는 태도를 강조한다.한자 풀이盡(다할 진): 다하다, 극진히 하다人(사람 인): 사람事(일 사): 일, 해야 할 일待(기다릴 대): 기다리다天(하늘 천): 하늘, 운명, 신命(목숨 명): 명령, 운명⇒ “인간의 일을 다한 후,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결과는 신의 영역이니 인간은 자기 몫을 다해야 한다는 태도를 의미함.유래와 배경‘진인사대천명’은 『맹자(孟子)』의 문장에서 비롯된 말이다. 맹자는 “사람이 할 일을 다하고도 일이 안 되면, 하늘의 명을 기다릴 뿐이다”라는 뜻으로 이 말을 .. 2025. 5. 21.
오십보백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는 도망친 거리가 다를 뿐, 결국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사소한 차이를 지나치게 부각하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데 사용된다.한자 풀이五十(다섯 오, 열 십): 50步(걸을 보): 걸음, 도망가는 거리百(일백 백): 100步(걸을 보): 같은 의미의 반복⇒ “50보 도망친 자나 100보 도망친 자나 도망친 것은 매한가지다.”유래와 배경『맹자(孟子)·양혜왕(梁惠王) 상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양혜왕이 맹자에게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를 묻자, 맹자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며 설명했다.전쟁터에서 병사들이 적을 보고 모두 도망치는데, 어떤 이는 100보를, 어떤 이는 50보를.. 2025. 5. 19.
호연지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浩然之氣(호연지기)는 하늘과 같이 크고 정직하며 꺾이지 않는 기운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도덕적 신념과 의지, 그리고 내면의 올곧음이 자연스럽게 뿜어져 나오는 기상을 상징한다. 맹자의 철학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외부의 유혹과 억압에 굴하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힘, 곧 도덕적 자존감과 정신적 기백을 말한다.한자 풀이浩(호): 넓고 큰 물결然(연): 그러할 연 (자연스러움, 상태)之(지): ~의 (지시대명사)氣(기): 기운, 에너지⇒ "크고 맑으며 하늘처럼 넓은 기운"유래와 배경《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문장이다. 맹자는 이렇게 말한다:“我善養吾浩然之氣。”“나는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길러왔다.”맹자는 호연지기를 '의(義)'에 바탕을 두고 하늘과 통하는 기운이라 했다. 이는 물리적 힘.. 2025.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