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10

부귀재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富貴在天(부귀재천)은“富(부): 부유하다”, “貴(귀): 귀하다”, “在(재): 있다”, “天(천): 하늘”이라는 글자 그대로,“부귀는 하늘에 달려 있다”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이는 인간의 부와 귀천은 노력보다는 천명(天命)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을 표현한다.부귀재천의 뜻과 유래부귀재천의 정의부귀재천은 인간의 운명과 재물, 신분이 자신의 힘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뜻에 달려 있다는 사상을 담고 있다.의미부귀와 빈천은 모두 천명에 의해 정해진다는 뜻.인간의 노력만으로는 부귀를 얻을 수 없다는 체념적 인식.세상의 영욕(榮辱)을 초월한 운명론적 태도를 상징.사용 맥락인생의 부침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철학적 태도를 말할 때.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따르지 않을 때 위안의 표현으로 사용.권세나 재물을.. 2025. 11. 12.
인의예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仁義禮智(인의예지)는 사람다움의 네 기둥이다.仁(인)은 따뜻한 숨, 義(의)는 굳은 뼈, 禮(예)는 고운 겉, 智(지)는 맑은 눈이다.사람이 세상 위에 바로 서기 위해 갖춰야 할 네 가지 마음의 준칙이다.인의예지 뜻과 유래인의예지의 정의인의예지는 사람다운 품성과 도덕의 네 가지 기둥을 뜻한다.유가 사상이 핵심 가치로 삼은 개념으로, 인간이 세상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가장 깊은 도리를 말한다.仁(인)마음에 깃든 따뜻함타인을 품고 생명을 귀히 여기는 사랑의 기운義(의)옳음을 따르는 뼈대편의를 버리고 정의를 택하는 굳센 마음禮(예)질서를 지키는 바른 몸짓말, 행동, 마음을 다듬어 서로의 자리를 지키는 법도智(지)꿰뚫어 보는 생각의 빛옳고 그름을 가르고 길을 찾아내는 사려 깊음인의예지의 유래.. 2025. 11. 5.
사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四端(사단)은"四(사): 넷", "端(단): 실마리, 근원"이라는 뜻으로,인간의 마음속에 선한 성품의 네 가지 근원을 가리키는 유교의 핵심 개념이다.이는 맹자(孟子)가 처음 제시한 도덕 철학의 근본 이론으로,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의 뿌리가 되는 사상이다.사단의 뜻과 유래사단의 정의사단(四端)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의 싹(端)을 뜻한다.이 네 가지는 바로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다.맹자는 이를 두고 “사람에게는 누구나 이 네 가지 마음이 본래부터 있다”고 하였다.의미사단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도덕의 단초(端初)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근원이다.인간의 선한 본성을 증명하는 심리적 근거.. 2025. 10. 27.
측은지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惻隱之心(측은지심)은 "惻(측): 슬퍼하다", "隱(은): 불쌍히 여기다", "之(지): ~의", "心(심): 마음"이라는 한자 뜻 그대로, “불쌍히 여기는 마음”, 즉 타인의 고통을 보고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연민과 동정의 마음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측은지심의 뜻과 유래측은지심의 정의측은지심은 타인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고 본능적으로 느끼는 연민의 정(情)을 말한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본성적으로 지니고 있는 도덕적 감정의 씨앗(四端) 가운데 하나로, 인(仁)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의미다른 사람의 아픔을 내 일처럼 느끼는 마음.약자나 불행한 이웃을 돕고자 하는 본능적 충동.인간의 도덕적 양심과 공감 능력을 상징하는 감정.사용 맥락사회적 약자, 불우한 이웃, 고통받는 존재를 향한 연민.정의감이나 자비심의 근원.. 2025. 10. 21.
여조삭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如鳥數飛(여조삭비)는 "如(여): 같을 여", "鳥(조): 새", "數(삭): 자주", "飛(비): 날다"라는 네 글자 고사성어로, "새가 자주 날아오르듯이 끊임없이 연습하라"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다. 이는 지속적인 반복과 꾸준한 노력이 학문이나 기술의 향상을 이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여조삭비의 뜻과 유래여조삭비의 정의여조삭비는 학문이나 기술을 익히는 데 있어 반복과 지속의 중요성을 강조한 고사성어로, '노력의 비유적 표현'으로 널리 사용된다.의미학습이나 수련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으며, 지속적 반복이 필요함.새가 날기 위해 수차례 날갯짓을 하듯, 노력 또한 쉬지 않고 이어져야 함.사용 맥락공부나 훈련을 장기적으로 지속해야 할 때.포기하지 않고 한 가지 기술이나 실력을 키워나갈 때.연습과 실천이 성공.. 2025. 6. 20.
禽獸 금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禽獸(금수)는 새와 짐승, 즉 동물을 뜻하는 말이지만, 인격적으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잃은 자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본래는 동물 전반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였으나, 도덕심이 결여된 사람에 대한 비난의 의미로 발전하였다.한자 풀이禽(새 금): 날짐승, 조류獸(짐승 수): 들짐승, 야수⇒ 곧 "금수"는 조수(鳥獸) 전체, 즉 짐승을 뜻하는 말이다.유래와 배경『맹자』의 진심장(盡心章)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人之異於禽獸者幾希(인지이어금수자기희)”"사람이 금수(禽獸)와 다른 것은 거의 없다." 맹자는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는 도덕심(仁義)에 있다고 보았다. 이 말은 인간이 인의(仁義)를 잃으면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즉, ‘금수’는 사람의 탈을 썼으나 도덕심이 없는 자를 .. 2025.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