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矛盾(모순)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창과 방패"라는 뜻이다. 서로 상반되는 주장이나 상황이 공존하여 논리적 충돌을 일으키는 현상을 지칭하며,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나 행동의 불일치를 비판할 때 사용된다. 오늘날에도 논리적 오류, 자기모순, 또는 현실과 이상 간의 괴리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널리 쓰인다.한자 풀이矛(모): 창盾(순): 방패=> 창과 방패라는 두 무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공격과 방어라는 상반된 속성이 충돌하는 것을 상징한다.유래와 배경모순의 어원은 『한비자(韓非子)』 난이(難二)편에 등장하는 다음 일화에서 유래한다.옛날 초나라의 한 상인이 말했다.“내 창은 어떠한 방패도 뚫을 수 있다.”“그리고 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이를 듣던 사람이 물었다.“그렇다면 그 창으..
2025. 5. 8.
사이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似而非(사이비)는 겉으로는 진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즉 겉모양만 흉내 낸 가짜를 일컫는 고사성어다. 외견상으로는 그럴듯해 보이나 본질이나 진실에서 벗어난 사물, 주장, 사람, 사상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似(사): 닮다, 비슷하다而(이): ~하지만, 그리고非(비): 아니다, 거짓되다=> '비슷하나(似) 실은(而) 아님(非)'이라는 의미유래와 배경似而非는 특정한 역사적 일화에 기반한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공자(孔子)의 논어나 중국 고대 철학서들에서 유사한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신의 주장이나 신념이 진리처럼 보이도록 포장하지만, 실제로는 도리에 맞지 않거나 거짓된 경우를 경계하는 문맥에서 사용된다.가짜 도(道), 가짜 지혜, 가짜 신앙 등 본질을 외면한 겉모양만의 위선과 왜곡을..
2025. 5. 8.
부화뇌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附和雷同(부화뇌동)은 "주관 없이 무작정 남을 따라가는 태도"를 비판하는 고사성어다. 비판적 사고 없이 여론이나 다수의 주장에 휩쓸리는 태도를 경계할 때 사용된다.부화뇌동의 뜻과 유래부화뇌동의 정의한자 풀이附(부): 붙다, 和(화): 어울리다, 雷(뇌): 천둥, 同(동): 함께하다본래 의미천둥이 치면 여러 소리가 함께 우르르 울리는 것처럼, 자기 생각 없이 남의 말에 무턱대고 동조하는 행위를 일컫는다.사용 맥락유행, 권위, 다수의 주장에 의문 없이 따라가는 행태를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된다.부화뇌동의 유래『사기(史記)』나 『한서(漢書)』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구체적인 고사는 전해지지 않지만, 공자의 제자 중 일부가 비판적 사고 없이 스승의 말에 동조하거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풍자한..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