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면초가3

진퇴양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進退兩難(진퇴양난)은 "進(진): 나아가다", "退(퇴): 물러나다", "兩(양): 양쪽", "難(난): 어렵다"라는 뜻의 한자어로, "나아가기도 어렵고 물러나기도 어려운 난처한 처지"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진퇴양난의 뜻과 유래진퇴양난의 정의진퇴양난은 어떤 결정을 내리기에도, 혹은 회피하기에도 곤란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딜레마적인 상태를 비유한다.의미나아가자니 장애가 있고, 물러나자니 피해가 있는 상황선택지 모두가 고통스러운 상태결정의 유예가 오히려 더 큰 부담을 주는 경우사용 맥락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외교 문제인간관계에서 어느 편도 들기 어려운 갈등 상황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투자와 철수 모두 위험할 때진퇴양난의 유래진퇴양난은 『사기(史記)』나 『좌전(.. 2025. 6. 16.
건곤일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乾坤一擲(건곤일척)은 하늘과 땅, 곧 운명의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주사위를 던지는 것을 뜻하는 말로, 인생이나 어떤 중대한 일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을 때 최후의 결단을 내리는 절박한 승부를 가리킨다. 위험을 감수하고 모든 것을 걸어 최종적인 결과를 노리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乾(건): 하늘 (하늘을 상징하는 주역의 팔괘 중 하나)坤(곤): 땅 (땅을 상징하는 팔괘)一(일): 하나, 단 한 번擲(척): 던지다⇒ "하늘과 땅, 곧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던진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등장하는 중국 초한지 시대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초나라의 명장 항우(項羽)는 한고조 유방(劉邦)과 천하를 두고 다투다가, 해하(垓下)의 전투에서 패하.. 2025. 6. 9.
사면초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四面楚歌(사면초가)는 “四(사): 넷”, “面(면): 면하다”, “楚(초): 초나라”, “歌(가): 노래”로 구성된 고사성어다. 글자 그대로는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들린다”는 뜻이며,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여 도와줄 사람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비유한다.사면초가의 뜻과 유래사면초가의 정의본래 의미사방이 적에게 포위되어 외부의 지원 없이 외롭게 맞서야 하는 상황사용 맥락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맥락에서 모든 수단이 차단되어 고립되었을 때 인용됨사면초가의 유래『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등장하는 일화에서 유래하였다. 한나라 유방과의 전쟁에서 초나라 장수 항우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당하였을 때, 한나라 군이 초나라 노래를 불러 항우의 사기를 꺾었다. 항우는 초나라 백성들마저 모두 한나라에 귀순했다..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