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39

망양보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망양보뢰 뜻과 유래망양보뢰의 정의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일이 잘못된 뒤에야 뒤늦게 수습하거나 조치를 취함을 비유한 고사성어다.의미이미 일어난 실패나 사고를 계기로 다시는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함.실수를 통해 교훈을 얻는 태도.사후약방문처럼 늦은 대책이지만, 그래도 그나마 다행이라는 뉘앙스를 지님.사용 맥락사고나 실패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을 세울 때.문제 발생 후 책임자나 제도를 바꾸는 상황.‘이미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고쳐야 한다’는 교훈적 상황에서 사용됨.망양보뢰의 유래이 말은 중국 『전국책(戰國策)·초책(楚策)』에 나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초나라 혜왕 때, 재상 장의(張儀)의 계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신하 굉택(閎賊)이 왕에게 간언했다.“.. 2025. 11. 12.
구곡간장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九曲肝腸(구곡간장)은“九(구): 아홉”, “曲(곡): 굽이”, “肝(간): 간”, “腸(장): 창자”라는 뜻으로,‘아홉 번이나 굽이친 간과 창자’, 즉 몹시 애끓는 슬픔과 통한의 감정을 비유한 고사성어다.속에서 끓어오르는 깊은 슬픔이 마치 굽이굽이 뒤틀린 내장처럼 고통스럽다는 뜻을 담고 있다.구곡간장의 뜻과 유래구곡간장의 정의구곡간장은 극도의 슬픔과 통한이 마음속 깊이 사무쳐 참을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다.의미마음이 뒤틀릴 정도로 깊고 아픈 슬픔.헤아릴 수 없는 한(恨)과 고통의 비유.감정의 극한에서 터져 나오는 인간적 비애.사용 맥락사랑하는 이를 잃은 비통함.부모 자식 간의 이별이나 죽음.억울한 누명이나 회한의 정서 표현.구곡간장의 유래‘구곡(九曲)’은 ‘굽이굽이 구부러진 강이나 산길’을 뜻하는 말로,.. 2025. 11. 9.
곡학아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曲學阿世(곡학아세)는“曲(곡): 학문을 굽히다”, “學(학): 배움”, “阿(아): 아첨하다”, “世(세): 세상”이라는 뜻으로,‘바른 학문을 왜곡하여 세상에 아첨한다’, 즉 진리를 굽혀 세속의 인정을 받으려는 태도를 비판하는 사자성어다.곡학아세의 뜻과 유래곡학아세의 정의곡학아세는 학문을 본래의 바른 도리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이익이나 권력자에게 아부하기 위해 왜곡하는 태도를 말한다.의미진리를 굽혀 권세에 영합함.학문의 본질보다 세속적 이익을 우선시함.지식인의 도덕적 타락을 비판하는 표현.사용 맥락권력자의 눈치를 보며 진실을 왜곡하는 학자나 지식인에 대한 비판.사회적 명예나 출세를 위해 진리를 왜곡하는 사람을 경계할 때 사용.곡학아세의 유래이 표현은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에 처음 등장한다.그중 반.. 2025. 11. 8.
소탐대실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小貪大失(소탐대실)은“小(소): 작다”, “貪(탐): 탐하다”, “大(대): 크다”, “失(실): 잃다”라는 글자 그대로,“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을 담은 고사성어다.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하여 더 크고 본질적인 가치를 놓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표현이다.소탐대실의 뜻과 유래소탐대실의 정의소탐대실은 눈앞의 작은 이익에 집착하거나 탐욕을 부리다가, 오히려 더 크고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는 상황을 비유한다.이는 인간의 근시안적 욕심과 어리석은 선택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말이다.의미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욕심이 지나쳐 본질을 잃는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즉흥적이고 단기적인 판단이 장기적인 손해를 가져온다는 경고.사용 맥락경제적 선택에서 단기 이익만을 좇을 때.인간관계에서 사소한 감정.. 2025. 10. 15.
송구영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송구영신의 뜻과 유래송구영신의 정의송구영신은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이한다는 의미로, 주로 연말과 새해에 과거의 아쉬움과 실패, 괴로움을 떨쳐내고 새로운 각오와 희망을 다지는 분위기에서 사용된다.의미이전 해나 과거를 정리하고 다가오는 새해의 행복을 기원하는 태도.시간, 인간관계, 마음가짐 등 폭넓은 변화를 의미한다.사용 맥락설날 등 전환의 순간에 마음을 새롭게 다짐할 때.예배, 기도, 인사말 등 새해와 관련된 공식 행사.송구영신의 유래송구영신의 어원은 중국 관가의 ‘송고영신(送故迎新)’에서 유래했으며, 당송 시대 서현(徐鉉)의 시구 “송구영신료불기(送舊迎新了不欺)”에서 비롯되었다.본래는 '구관을 보내고 신관을 맞이한다'는 관가의 이·취임식에서 사용된 말이었다.한국에서는 음력 섣달 그믐(제야)과 관련된 민.. 2025. 9. 3.
不惑 불혹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不惑(불혹)은 공자(孔子)가 『논어(論語)』에서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말한 표현으로, 사람이 마흔이 되어 세상의 이치에 밝고, 흔들리지 않는 정신적 경지에 이른 상태를 뜻한다. 고정된 사자성어라기보다 유교 문화에서 인생의 한 단계를 정의하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한자 풀이不(아닐 불): 아니다, 부정惑(미혹할 혹): 의심하거나 마음이 흔들림⇒ 불혹은 "마음이 미혹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외부의 유혹이나 혼란에 쉽게 휘둘리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유래와 배경『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는 자신의 인생 단계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吾十有五而志於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자립하였으며, 마흔에 미혹되지 않았고, 쉰에 천명을 알았다.. 2025.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