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결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桃園結義(도원결의)은"桃(도): 복숭아나무", "園(원): 동산", "結(결): 맺다", "義(의): 의리"즉, “복숭아동산에서 의형제를 맺다”라는 뜻으로, 진한 의리와 우정을 맹세한 결의(結義)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이는 삼국지(三國志)에서 유래된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가 도원에서 형제의 의를 맺으며 나라와 백성을 위해 함께 싸우기로 맹세한 데서 비롯되었다.도원결의의 뜻과 유래도원결의의 정의도원결의는 피보다 진한 의리와 우정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생사를 함께 할 정도로 굳은 결의로 맺어진 우정을 뜻한다.의미서로 뜻이 맞는 사람들이 굳게 맺은 의형제의 관계.혈연보다 깊은 신의(信義)를 맹세하는 결연(結緣)의 상징.공동의 이상이나 목적을 위해 목숨을 함께 ..
2025. 11. 13.
도원결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桃園結義(도원결의)는"桃(도): 복숭아나무", "園(원): 동산", "結(결): 맺다", "義(의): 의리"라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말이다.직역하면 “복숭아 동산에서 의를 맺다”는 뜻으로,서로의 생사를 함께하기로 맹세한 굳건한 의형제의 결의를 상징한다.이 사자성어는 단순한 우정을 넘어 신의와 충성, 의리로 맺어진 관계의 이상적인 형태를 표현한다.오늘날에도 ‘도원결의’는 끈끈한 의리, 변치 않는 우정, 신념의 연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쓰인다.도원결의의 뜻과 유래도원결의의 정의도원결의는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피보다 진한 의리로 맺은 관계를 말한다.이익이나 혈연이 아닌 신의와 도덕적 가치로 연결된 결속을 뜻한다.의미함께 생사를 걸고 뜻을 지키겠다는 맹세.진실한 우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결의.개인..
2025. 10. 15.
수어지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水魚之交(수어지교)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친밀하고 떨어질 수 없는 우정이나 관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다. 이는 단순한 친분을 넘어, 상호 의존하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깊은 유대를 의미한다.한자 풀이水(물 수): 물魚(물고기 어): 물고기之(갈 지): ~의交(사귈 교): 교제, 사귐⇒ 물고기가 물 없이는 살 수 없듯, 절대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관계를 뜻함.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삼국지(三國志)』 「제갈량전(諸葛亮傳)」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을 찾아가 세 번이나 초대한 끝에 그를 모셔오자, 유비의 동생 관우(關羽)와 장비(張飛)는 불만을 품었다. 이에 유비는 이렇게 말했다:“孤之有孔明, 猶魚之有水也。願諸君勿復言。”"내가 공명을 얻은 것은 마치 물고기가 물을 얻은 ..
2025. 5. 24.
계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鷄肋(계륵)은 문자 그대로는 '닭의 갈비'를 뜻하지만, 고사성어로는 그다지 실속은 없으나 버리기엔 아까운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사소한 이득이 남아 있어 쉽게 포기하지 못하지만, 그 이득이 실질적으로는 크지 않아서 결단을 망설이게 되는 상황을 함축한다.한자 풀이鷄(계): 닭肋(륵): 갈비⇒ 닭의 갈비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촉한의 유비가 한중 지역을 공격할 당시, 군세가 불리해 퇴각을 고려하던 제갈량은 그 뜻을 암시하기 위해 부하들에게 "오늘의 군량은 계륵이다"라고 하였다. 닭갈비는 먹을 것이 거의 없어 실속은 없지만, 그래도 버리자니 아까운 부위이다. 이 말을 들은 장수 양수는 퇴각 명령이 내려올 것을 직감하고 병사들을 준비시켰다가, 제갈량에게 의심을 받아..
2025. 5. 14.
백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白眉(백미)는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다. 여러 대상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존재를 지칭할 때 사용되며, 탁월함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한자 풀이白(백): 흰 백眉(미): 눈썹 미⇒ 흰 눈썹유래와 배경'백미'는 삼국지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촉한의 명재상 제갈량이 "마씨 오형제"를 평가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마씨 오형제는 모두 훌륭하지만,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나니 그의 눈썹 가운데 흰 털이 있어 백미(白眉)라 한다.”이때부터 백미는 많은 사람 중 으뜸가는 존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현대적 의미와 적용1. 인재와 실력자에 대한 비유학교, 직장, 사회 등에서 유독 탁월한 능력이나 성과를 드러내는 인물에게 백미라는 표현..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