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성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三人成虎(삼인성호)는 근거 없는 말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참인 것처럼 여겨진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거짓이 반복되면 진실처럼 받아들여지는 인간 심리의 위험성을 경고한다.한자 풀이三(석 삼): 숫자 셋人(사람 인): 사람成(이룰 성): 이루다, 되다虎(호랑이 호): 호랑이⇒ 세 사람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말하면 실제로 호랑이가 있는 것처럼 믿게 된다는 의미유래와 배경『戰國策(전국책)』의 "魏策(위책)" 편에 등장하는 고사이다.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의 방총(龐蔥)이 조나라에 인질로 떠나기 전, 왕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지금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 사람이 말하면 믿으시겠습니까?""아니오.""두 사람이 말하면 어떻습니까?""그래도 안 믿을 겁니다.""세 사람이 말하면요?""그럼 정말 그런가 싶겠군요...
2025. 5. 28.
어부지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漁夫之利(어부지리)는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본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어부지리의 뜻과 유래어부지리의 정의본래 의미漁(어): 고기잡이, 夫(부): 사람, 즉 어부, 之(지): ~의, 利(리): 이익고기잡이 어부가 두 존재의 다툼 덕분에 이득을 본다는 비유적 표현이다.사용 맥락양측이 서로 대립하고 소모적인 갈등에 빠진 사이, 제삼자가 실속을 챙기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어부지리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서 유래한다. 당시 조나라와 연나라가 전쟁을 앞두고 있었는데, 소진(蘇秦)이 연왕에게 다음과 같은 비유로 경고하였다.“조나라와 연나라가 싸우는 것은 조개와 도요새가 다투는 것과 같다.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쪼자 조개가 껍질을 닫았고,..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