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격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聲東擊西(성동격서)는"聲(성): 소리내다", "東(동): 동쪽", "擊(격): 치다", "西(서): 서쪽"이라는 뜻으로,겉으로는 동쪽에서 소란을 내지만 실제 공격은 서쪽에서 하는 기만 전술을 말한다.눈앞의 연기 뒤에서 칼끝이 반짝이고, 소리의 그림자가 방향을 속이는 계략.전장은 물론 일상 속 경쟁에서도 쓰이는, 주의를 돌리고 본질을 숨기는 지혜다.성동격서의 뜻과 유래성동격서의 정의성동격서는 겉으로는 한 방향을 강조해 상대를 속이고, 실제 목적은 다른 곳에 두는 전략이다.의미관심과 시선을 허위 방향으로 유도해, 진짜 행동을 감춘다.속임수이지만, 정면 충돌보다 더 날카로운 지략.힘보다 머리로 승부하는 책략의 대표.사용 맥락협상에서 상대의 판단을 어지럽힐 때.비즈니스 전략에서 경쟁사를 속일 때.군사 작전이나 ..
2025. 10. 31.
어부지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漁夫之利(어부지리)는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본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어부지리의 뜻과 유래어부지리의 정의본래 의미漁(어): 고기잡이, 夫(부): 사람, 즉 어부, 之(지): ~의, 利(리): 이익고기잡이 어부가 두 존재의 다툼 덕분에 이득을 본다는 비유적 표현이다.사용 맥락양측이 서로 대립하고 소모적인 갈등에 빠진 사이, 제삼자가 실속을 챙기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어부지리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서 유래한다. 당시 조나라와 연나라가 전쟁을 앞두고 있었는데, 소진(蘇秦)이 연왕에게 다음과 같은 비유로 경고하였다.“조나라와 연나라가 싸우는 것은 조개와 도요새가 다투는 것과 같다.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쪼자 조개가 껍질을 닫았고,..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