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정성5

분골쇄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粉骨碎身(분골쇄신)은 말 그대로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자신을 희생해 어떤 일에 극진히 헌신하거나 충성을 다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 목숨을 아끼지 않고 힘과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뜻하며, 특히 충성심과 희생정신을 강조할 때 쓰인다.한자 풀이粉(분): 가루로 만들다骨(골): 뼈碎(쇄): 부수다身(신): 몸⇒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에서 극한의 희생과 충성을 나타냄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옛 장수들이 임금이나 국가를 위해 자신의 안위는 돌아보지 않고 충성을 다한 데서 유래하였다. “분골쇄신지성(粉骨碎身之誠)”이라는 문맥으로 자주 인용되며, 목숨을 바쳐 충성하겠다는 맹세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단순한 충성심을 넘어서, 죽음을 각오한 헌.. 2025. 6. 8.
표리부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表裏不同(표리부동)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속마음이 다르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신뢰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적 윤리관에서 비롯된 말로, 인간관계나 정치, 사회적 상황에서 자주 언급된다.한자 풀이表(겉 표): 겉모습, 외면裏(속 리): 속마음, 내면不(아닐 부): 아니다, 부정同(같을 동): 같다, 일치하다⇒ 겉과 속이 같지 않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지칭함.유래와 배경‘표리부동’은 고사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지칭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중국의 역사서나 유교 경전, 특히 『논어』와 『맹자』 같은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선과 진정성에 대한 경계로 자주 사용되었다.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언행일치(言行一.. 2025. 5. 23.
허장성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虛張聲勢(허장성세)는 실속 없이 허세만 부리는 것, 또는 실제 능력 이상으로 과장된 기세를 드러내는 행위를 가리키는 고사성어이다. 겉으로는 거창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실체가 없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한자 풀이虛(빌 허): 텅 비다, 거짓되다張(베풀 장): 펼치다, 드러내다聲(소리 성): 소리, 명성勢(형세 세): 기세, 세력⇒ "비어 있는 것을 드러내며 기세를 내세운다"는 뜻으로, 헛되이 기세를 부리는 행위를 비유.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특정한 인물의 일화에서 비롯되기보다는, 중국 병법과 전략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군사적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는 상대를 속이기 위한 허장성세 전략이 자주 등장한다.예컨대, 병력이 적을 때 크게 북을 치고 깃발을 흔들며 대군처럼 가장하여.. 2025. 5. 20.
양두구육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羊頭狗肉(양두구육)은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전혀 다르고, 겉으로는 훌륭해 보이나 실제 내용은 형편없는 상황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 주로 겉치레, 허위 광고, 위선적 행위를 비판할 때 사용되며, 말과 행동이 다른 이중적 태도를 드러낼 때 인용된다.한자 풀이羊(양): 양 양頭(두): 머리 두狗(구): 개 구肉(육): 고기 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팔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전단전(田單傳)」에 따르면, 전단이 적국을 속이기 위해 외형만 거창하게 꾸며 내부의 부실을 감췄던 사례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더 일반적인 해석은 중국 고대 시장에서 상인이 양고기를 파는 것처럼 꾸며 놓고 실제로는 값싼 개고기를 팔아 이익을 취하려 한 행태에서 비롯되었다.. 2025. 5. 13.
삼고초려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三顧草廬(삼고초려)는 진정한 인재를 얻기 위해 반복적인 방문과 끈질긴 정성으로 마음을 움직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오늘날에는 유능한 사람을 얻기 위해 진심을 다해 정중히 요청하는 태도 또는 그러한 과정을 의미하며, 성의와 정성을 다하는 인재 영입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한자 풀이三(삼): 세 번顧(고): 찾아가다, 방문하다草廬(초려): 풀로 만든 초가집=> 풀로 엮은 집을 세 번 찾아가다유래와 배경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 나오는 유비(劉備)와 제갈량(諸葛亮) 사이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조조에 대항하기 위해 인재가 절실했던 유비는 세 번이나 제갈량의 초가집을 찾아가 그를 초빙한다. 제갈량은 처음 두 번은 만나주지 않았지만, 유비의 끈질긴 진정성에 감복하여 결국 유비의 군사로 나아가게 된다. 이..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