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정성8

무신불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無信不立(무신불립)은“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는 뜻으로,신뢰와 성실이 인간 존재와 사회 관계의 근본임을 강조한 공자의 가르침이다.무신불립의 뜻과 유래무신불립의 정의무신불립은 사람이 신뢰를 잃으면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사회적으로 설 자리가 없다는 뜻이다.공자는 인간관계의 기본을 ‘신(信)’, 즉 믿음과 성실로 보았다.의미믿음이 없으면 사회적 관계나 인격이 바로 설 수 없다.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으면 신뢰를 잃는다.신뢰는 곧 존재의 근간이다.사용 맥락약속이나 책임을 저버린 사람을 비판할 때.조직이나 지도자의 신뢰가 무너졌을 때.인간관계나 사회의 기본 도리를 논할 때.무신불립의 유래무신불립은 『논어(論語)』 「안연(顏淵)」 편에서 유래한다.공자가 정치의 근본을 묻는 제자 자공(子貢)에게 이렇게 답한다.“.. 2025. 11. 6.
명실상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名實相符(명실상부)는“名(명): 이름”, “實(실): 실상”, “相(상): 서로”, “符(부): 부합하다”라는 뜻으로,이름과 실제가 서로 꼭 맞아떨어진다, 곧 이름값을 정확히 한다는 고사성어다.말만 번지르르한 빈 껍데기가 아니라, 겉표지와 속살이 같은 사람, 같은 일을 가리킨다.명실상부의 뜻과 유래명실상부의 정의명실상부는 겉으로 알려진 명성과 실제 능력, 혹은 평가와 실체가 일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입으로 찬바람을 뿜으며 허세를 부리는 자가 아닌, 실력으로 빛을 발하는 진짜를 가리킨다.의미이름값을 제대로 한다평판과 실력이 일치한다겉과 속이 다르지 않은 진실한 상태사용 맥락업적과 명예가 조화를 이루는 자리에서실력을 증명한 사람이나 조직을 평가할 때“말보다 결과”가 중요한 순간명실상부의 유래명실상부는 고대 .. 2025. 10. 31.
면종복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面從腹背(면종복배)는"面(면): 얼굴", "從(종): 따르다", "腹(복): 배", "背(배): 등"즉, 겉으로는 따르는 체하지만 속으로는 등을 돌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이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 이중적인 마음가짐을 비판적으로 드러낼 때 사용된다.면종복배의 뜻과 정의면종복배의 정의면종복배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속으로는 반대하거나 배반하려는 마음을 품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속으로는 따르지 않음.내면과 외면이 다른 위선적 태도.배반의 마음을 감추고 기회만 노리는 행위.사용 맥락권력자 앞에서 겉으로는 충성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신을 도모할 때.상사나 윗사람 앞에서 순종하는 말만 하면서 뒤에서는 불평과 비난을 늘어놓을 때.겉치레와 아부로 자리를 지키려는 .. 2025. 9. 10.
분골쇄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粉骨碎身(분골쇄신)은 말 그대로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자신을 희생해 어떤 일에 극진히 헌신하거나 충성을 다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 목숨을 아끼지 않고 힘과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뜻하며, 특히 충성심과 희생정신을 강조할 때 쓰인다.한자 풀이粉(분): 가루로 만들다骨(골): 뼈碎(쇄): 부수다身(신): 몸⇒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에서 극한의 희생과 충성을 나타냄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옛 장수들이 임금이나 국가를 위해 자신의 안위는 돌아보지 않고 충성을 다한 데서 유래하였다. “분골쇄신지성(粉骨碎身之誠)”이라는 문맥으로 자주 인용되며, 목숨을 바쳐 충성하겠다는 맹세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단순한 충성심을 넘어서, 죽음을 각오한 헌.. 2025. 6. 8.
표리부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表裏不同(표리부동)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속마음이 다르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신뢰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적 윤리관에서 비롯된 말로, 인간관계나 정치, 사회적 상황에서 자주 언급된다.한자 풀이表(겉 표): 겉모습, 외면裏(속 리): 속마음, 내면不(아닐 부): 아니다, 부정同(같을 동): 같다, 일치하다⇒ 겉과 속이 같지 않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지칭함.유래와 배경‘표리부동’은 고사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지칭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중국의 역사서나 유교 경전, 특히 『논어』와 『맹자』 같은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선과 진정성에 대한 경계로 자주 사용되었다.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언행일치(言行一.. 2025. 5. 23.
허장성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虛張聲勢(허장성세)는 실속 없이 허세만 부리는 것, 또는 실제 능력 이상으로 과장된 기세를 드러내는 행위를 가리키는 고사성어이다. 겉으로는 거창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실체가 없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한자 풀이虛(빌 허): 텅 비다, 거짓되다張(베풀 장): 펼치다, 드러내다聲(소리 성): 소리, 명성勢(형세 세): 기세, 세력⇒ "비어 있는 것을 드러내며 기세를 내세운다"는 뜻으로, 헛되이 기세를 부리는 행위를 비유.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특정한 인물의 일화에서 비롯되기보다는, 중국 병법과 전략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군사적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는 상대를 속이기 위한 허장성세 전략이 자주 등장한다.예컨대, 병력이 적을 때 크게 북을 치고 깃발을 흔들며 대군처럼 가장하여..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