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성5

면종복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面從腹背(면종복배)는“面(면): 얼굴”, “從(종): 따르다”, “腹(복): 배”, “背(배): 등지다”라는 뜻으로,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반하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다.즉, 앞에서는 따르고 뒤에서는 배신하는 이중적인 사람의 행태를 풍자한다.면종복배의 뜻과 유래면종복배의 정의면종복배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인 태도를 비유한 말이다.말로는 순종하고 태도로는 공손하지만, 속으로는 반감을 품고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의미한다.의미겉으로는 따르지만 속으로는 따르지 않음겉과 속이 다른 이중성, 위선의 상징진심 없는 복종, 가식적인 충성사용 맥락상사나 권력자 앞에서는 순종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뒤에서는 비난하는 경우친구 앞에서는 친한 척하면서 뒤에서는 험담하는 경우정치나 조직 내에서 겉치레로만 충성심을.. 2025. 11. 6.
미생지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尾生之信(미생지신)은"尾(미): 꼬리, 사람 이름 ‘미생’","生(생): 태어나다, 사람의 이름을 나타냄","之(지): ~의","信(신): 믿음, 신의"즉 “미생의 신의(信義)”, 곧 끝까지 약속을 지키려다 죽은 미생의 믿음을 뜻하는 고사성어다.이는 신의를 목숨보다 귀하게 여겼으나, 그 집착으로 스스로 화를 자초한 인물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로, 오늘날에는 ‘융통성 없는 고지식함’이나 ‘맹목적 충성’을 풍자하거나 경계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미생지신의 뜻과 유래미생지신의 정의미생지신은 약속을 한 번 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반드시 지키려는 극단적인 신의의 상징이다.그러나 동시에, 현실을 외면한 채 원칙만을 고집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기도 한다.핵심 의미약속과 신의를 지키려는 고결한 마음.상황 판단을 잃은 .. 2025. 10. 8.
견마지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犬馬之勞(견마지로)는 "犬(견): 개", "馬(마): 말", "之(지): ~의", "勞(로): 수고"라는 글자 그대로, "개와 말의 수고"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자신을 낮추어 남을 위해 헌신하며 힘과 노력을 다하는 충성과 봉사의 태도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된다. 단순히 몸을 쓰는 수고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겸손과 자기희생의 가치를 강조하는 표현이다.견마지로의 뜻과 유래견마지로의 정의견마지로는 자신을 개와 말에 비유하여, 남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마음이나 행동을 의미한다.의미충성과 봉사의 태도를 겸손하게 나타냄높은 지위나 권력을 가진 사람에게 바치는 헌신적 노력자신의 공로를 내세우지 않고 묵묵히 책임을 다함사용 맥락임금이나 상사, 국가를 위해 헌신할 때개인적 욕심보다 공동체를 위해 .. 2025. 9. 6.
분골쇄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粉骨碎身(분골쇄신)은 말 그대로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자신을 희생해 어떤 일에 극진히 헌신하거나 충성을 다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 목숨을 아끼지 않고 힘과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뜻하며, 특히 충성심과 희생정신을 강조할 때 쓰인다.한자 풀이粉(분): 가루로 만들다骨(골): 뼈碎(쇄): 부수다身(신): 몸⇒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에서 극한의 희생과 충성을 나타냄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옛 장수들이 임금이나 국가를 위해 자신의 안위는 돌아보지 않고 충성을 다한 데서 유래하였다. “분골쇄신지성(粉骨碎身之誠)”이라는 문맥으로 자주 인용되며, 목숨을 바쳐 충성하겠다는 맹세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단순한 충성심을 넘어서, 죽음을 각오한 헌.. 2025. 6. 8.
일편단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一片丹心(일편단심)은 '한 조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변치 않는 충성과 절개, 또는 진실된 사랑과 정성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시대가 바뀌어도, 상황이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을 함축한 말이다.한자 풀이一(한 일): 하나, 단 하나片(조각 편): 조각, 단편丹(붉을 단): 붉은색, 진심, 충성心(마음 심): 마음⇒ 한 조각 붉은 마음, 즉 진심어린 변치 않는 마음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고려 말 충신 길재(吉再)의 절의를 묘사한 데서 유래한다. 조선 개국 후에도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며 벼슬을 마다하고 은거했던 길재는 자신의 마음을 "一片丹心事北望(일편단심사북망)"이라 표현하였다. 즉, "한 조각 붉은 마음으로 북쪽(고려)을 생각한다"는 뜻이다.이후 이 표현은 절개 있는 충신이나 진실된 사랑을.. 2025.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