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헌신2

분골쇄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粉骨碎身(분골쇄신)은 말 그대로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자신을 희생해 어떤 일에 극진히 헌신하거나 충성을 다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 목숨을 아끼지 않고 힘과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뜻하며, 특히 충성심과 희생정신을 강조할 때 쓰인다.한자 풀이粉(분): 가루로 만들다骨(골): 뼈碎(쇄): 부수다身(신): 몸⇒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에서 극한의 희생과 충성을 나타냄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옛 장수들이 임금이나 국가를 위해 자신의 안위는 돌아보지 않고 충성을 다한 데서 유래하였다. “분골쇄신지성(粉骨碎身之誠)”이라는 문맥으로 자주 인용되며, 목숨을 바쳐 충성하겠다는 맹세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단순한 충성심을 넘어서, 죽음을 각오한 헌.. 2025. 6. 8.
일편단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一片丹心(일편단심)은 '한 조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변치 않는 충성과 절개, 또는 진실된 사랑과 정성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시대가 바뀌어도, 상황이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을 함축한 말이다.한자 풀이一(한 일): 하나, 단 하나片(조각 편): 조각, 단편丹(붉을 단): 붉은색, 진심, 충성心(마음 심): 마음⇒ 한 조각 붉은 마음, 즉 진심어린 변치 않는 마음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고려 말 충신 길재(吉再)의 절의를 묘사한 데서 유래한다. 조선 개국 후에도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며 벼슬을 마다하고 은거했던 길재는 자신의 마음을 "一片丹心事北望(일편단심사북망)"이라 표현하였다. 즉, "한 조각 붉은 마음으로 북쪽(고려)을 생각한다"는 뜻이다.이후 이 표현은 절개 있는 충신이나 진실된 사랑을.. 2025.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