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룡점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畫龍點睛(화룡점정)은 사물이나 일의 마무리 단계에서 핵심을 찌르는 한 가지 요소가 전체의 가치를 결정짓는다는 뜻이다. 작품이 완성되어 가는 마지막 순간, 결정적인 터치로 생명력을 불어넣는 상황을 가리킬 때 자주 쓰인다.한자 풀이畫(화): 그리다龍(용): 용點(점): 점을 찍다睛(정): 눈동자⇒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중국 양(梁)나라 시대의 화가 *장승요(張僧繇)**의 일화에서 유래했다. 그는 능란한 필치로 유명했으며, 금릉(현재의 난징)의 안락사 벽에 네 마리 용을 그렸으나 일부러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유를 묻자, 장승요는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하늘로 날아갈 것"이라고 대답했다. 사람들이 믿지 않자, 그는 그 중 두 마리의 눈동자를 찍었다. 그러자 그 용들..
2025. 6. 9.
수적천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水滴穿石(수적천석)은 작은 물방울이 끊임없이 떨어지면 단단한 바위도 뚫을 수 있다는 뜻으로, 미약한 힘이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마침내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끈기와 꾸준함의 상징적 표현이다.한자 풀이水(수): 물滴(적): 물방울穿(천): 뚫다, 꿰뚫다石(석): 돌⇒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에 기록된 고사에서 유래했다. 동중서(董仲舒)는 한나라 때의 유학자로, 젊은 시절 학문에 열중하던 중 지치고 회의감에 빠졌을 때, 바위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이 오랜 시간에 걸쳐 바위에 구멍을 뚫은 것을 보고 크게 깨달았다. 그는 이를 통해 끈기와 노력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다시 학문에 매진하여 훗날 유학을 국가 이념으로 자리잡게 하는 데..
2025. 6. 9.
자가당착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家撞着(자가당착)은 한 사람이 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고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는 상황을 뜻한다. 말 그대로 "스스로 충돌한다"는 의미로,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주장이나, 처음에 한 말과 나중의 말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를 경계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家(가): 자기, 자신撞(당): 부딪치다, 충돌하다着(착): 닿다, 맞다⇒ "자기 말이나 행동이 자기 자신과 충돌하다"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난세편(難勢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초나라에 창과 방패를 파는 장수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방패가 너무나 튼튼하여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고 자랑했고, 이어서 자신의 창은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다고 선전했다. 이를 들은 사람이 "그렇다면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
2025. 6. 8.
杞憂 기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杞憂(기우)는 아무 근거 없는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실제로는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두고 미리 불안해하거나 걱정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말이다. 이 표현은 사람의 심리적 불안정성을 풍자하면서, 현실과 가능성을 구분할 수 있는 냉철한 사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한자 풀이杞(기): 중국 고대의 작은 나라 이름, 기나라憂(우): 근심, 걱정⇒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유래와 배경이 말은 『열자(列子)』 천서편(天瑞篇)에 등장한다. 기(杞)나라에 사는 한 사람이 하늘이 무너져 내리고 땅이 꺼질까 두려워 밤낮으로 걱정하며 살아갔다. 그는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도 불안에 빠뜨렸는데, 어떤 이가 “하늘은 기체이며 무너질 수 없고, 땅은 실체이므로 꺼질 수 없다”고 설명해주..
2025. 6. 8.
자승자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繩自縛(자승자박)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즉, 남의 탓이 아닌 스스로의 실수나 과오로 인해 발이 묶이거나 자유를 잃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충수(自充手)’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繩(승): 줄, 노끈自(자): 스스로縛(박): 묶다, 매다⇒ "자기가 만든 끈으로 자기를 묶는다."유래와 배경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직접적인 고사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선진시대(先秦時代) 문헌인 『장자(莊子)』나 『한비자(韓非子)』 등에서 유사한 사상과 표현들이 등장한다. 이는 인간이 제도를 만들거나 말과 규칙을 앞세우다가 오히려 자신이 만든 것에 스스로 얽매이는 상황을 경계한 지혜에서..
2025.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