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시일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十匙一飯(십시일반)은“十(십): 열”, “匙(시): 숟가락”, “一(일): 하나”, “飯(반): 밥”이라는 글자 그대로, “열 숟가락이 모여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큰일도 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십시일반의 뜻과 유래십시일반의 정의십시일반은 많은 사람이 각자 조금씩 힘을 보태면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의미여러 사람의 작은 정성도 모이면 큰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뜻.‘나 혼자라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넘어 작은 힘의 집합이 큰 힘이 된다는 것을 강조.공동체적 협력의 가치와 상부상조의 정신을 담고 있다.사용 맥락기부나 모금 활동에서 작은 금액의 후원이 모여 큰 자금을 이룰 때.공동체가 한마음으로 문제를 해..
2025. 10. 19.
극기복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克己復禮(극기복례)는“克(극): 이기다, 제어하다”, “己(기): 자기 자신”, “復(복): 회복하다, 되돌리다”, “禮(례): 예(禮), 예의와 규범”이라는 뜻으로,곧 “자신의 욕심을 이겨 예(禮)로 돌아간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이다.이는 단순한 자기 절제가 아니라 인간이 인간다움으로 돌아가는 도덕적 실천의 핵심을 담은 말이다.극기복례의 뜻과 유래극기복례의 정의극기복례란 자기 자신을 억제하고 예(禮)라는 사회적·도덕적 규범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뜻한다.이는 공자의 사상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윤리 명제로, 개인적 욕망의 극복과 공동체적 조화의 실현을 강조한다.의미자신의 사사로운 욕심과 감정을 억제하고 공공의 질서와 도덕을 따름.사회의 예절과 질서를 지키며 스스로를 바르게 다스림.인간의 본성과 욕심을 절..
2025. 10. 15.
동상이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同牀異夢(동상이몽)은 겉으로는 같은 입장이나 환경에 있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각자의 속셈이나 생각이 전혀 다른 경우를 일컫는다. 주로 협력 관계나 공동체 속에서 겉과 속이 다른 태도, 혹은 명분과 실제가 어긋나는 상황을 비판하거나 설명할 때 사용된다.한자 구성同(같을 동): 함께함, 동일함을 의미한다.牀(평상 상): 침대, 즉 잠자리를 뜻한다.異(다를 이): 다르다는 뜻.夢(꿈 몽): 꿈, 마음속 생각을 의미.→ "같은 자리에 누워서도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이다.유래와 배경‘동상이몽’은 『설원(說苑)』이나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등 고대 중국의 고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국시대의 혼란한 정치적 동맹 관계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전국시대, 제나라와 조나라가 연합하여..
2025.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