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蛇足(사족)은"蛇(사): 뱀", "足(족): 발"이라는 글자로,곧 “뱀에게 발을 그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이는 쓸데없는 것을 덧붙여 오히려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쓰인다.사족의 뜻과 유래사족의 정의사족은 본래 필요하지 않은 것을 굳이 덧붙여서,오히려 전체의 조화를 해치거나 본질을 손상하는 행위를 가리킨다.의미꼭 필요하지 않은 군더더기를 더함.지나친 욕심이나 과도한 행동으로 일을 망치는 상황.불필요한 수식, 말,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사용 맥락글이나 그림에서 지나친 장식을 넣었을 때.이미 충분한 설명에 불필요한 말을 덧붙였을 때.성취한 일을 더 욕심내다가 오히려 실패했을 때.사족의 유래사족의 고사는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어느 날, 제사를 지내고 남은 술 한 병을..
2025. 9. 8.
주마간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走馬看山(주마간산)은“走(주): 달리다”, “馬(마): 말”, “看(간): 보다”, “山(산): 산”이라는 글자 그대로,“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라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이 표현은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면 자세히 볼 수 없고, 그저 겉모습만 스쳐 지나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주마간산은 사물이나 현상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만 대충 훑어보는 태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오늘날에도 겉핥기식 공부, 형식적인 업무 태도, 피상적 인간관계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자주 인용되는 교훈적인 성어다.주마간산의 뜻과 유래주마간산의 정의주마간산은 단순히 산을 바라보는 상황을 넘어, 사물의 본질을 놓치고 겉만 보는 태도를 풍자적으로 표현한다.의미말 위에서 달리며 보는 산처럼, 피상적 ..
2025. 9. 2.
문전성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門前成市(문전성시)는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라는 뜻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매우 많아 집 앞이 마치 시장처럼 북적이는 상황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특히, 인기가 높거나 권세가 있을 때 주변에 사람들이 몰려드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한자 풀이門(문): 문 문前(전): 앞 전成(성): 이룰 성市(시): 시장 시⇒ 집 문 앞이 사람들로 붐벼 마치 시장처럼 되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장탕전(張湯傳)」에 나오는 표현으로, 한나라의 관리 장탕이 권세를 떨칠 때 그의 집 앞이 찾아온 손님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장탕이 실각하자, 그 많던 방문객들이 자취를 감추었고, 당시의 상황을 “문전성시(門前成市)”와 “문전참라(門前斬蘿)”로 대비해 표현했다. 이 일화는 인간관계의 이해득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
2025. 5. 15.
반면교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反面敎師(반면교사)는 부정적인 사례나 실패한 인물, 잘못된 행위를 통해 오히려 중요한 교훈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보기가 되는 나쁜 예'라고도 할 수 있으며, 타인의 잘못에서 배우는 교육적 효과를 강조하는 고사성어이다.한자 풀이反(반): 거스르다, 반대面(면): 얼굴, 측면敎(교): 가르치다師(사): 스승=> ‘반대되는 면에서 가르침을 주는 스승’, 즉 나쁜 예를 통해 배우는 스승이라는 뜻이다.유래와 배경"반면교사"는 고대 중국에서 직접적인 일화로 등장하기보다는 유가(儒家)와 법가(法家)의 교육 방식에서 비롯된 사고방식이다. 유가는 훌륭한 인물과 성현들의 삶을 본보기로 삼았고, 반대로 법가는 타인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데에서 학습의 본질을 찾았다. 이처럼 부정적인 예를 경계하며 그것을 교육적 자산으..
2025. 5. 9.
타산지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他山之石(타산지석)은 “他(타): 다른”, “山(산): 산”, “之(지): ~의”, “石(석): 돌”이라는 한자어로, “다른 산에서 난 돌이라도 자기 옥을 가는 데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다른 사람의 하찮은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인격이나 지혜를 닦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고전 유학에서 타인의 잘못조차도 배움의 자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깊은 통찰을 보여주는 말이다.타산지석의 뜻과 유래타산지석의 정의타산지석은 겉보기에는 쓸모없어 보이는 것이라도, 적절히 활용하면 자신의 수양이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의미남의 말이나 행동, 심지어는 실수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는 교훈.타인의 단점이나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을 다듬는 태도.외부의 조언이나 비판을 열린 자세로 수..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