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훈12

망양보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망양보뢰 뜻과 유래망양보뢰의 정의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일이 잘못된 뒤에야 뒤늦게 수습하거나 조치를 취함을 비유한 고사성어다.의미이미 일어난 실패나 사고를 계기로 다시는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함.실수를 통해 교훈을 얻는 태도.사후약방문처럼 늦은 대책이지만, 그래도 그나마 다행이라는 뉘앙스를 지님.사용 맥락사고나 실패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을 세울 때.문제 발생 후 책임자나 제도를 바꾸는 상황.‘이미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고쳐야 한다’는 교훈적 상황에서 사용됨.망양보뢰의 유래이 말은 중국 『전국책(戰國策)·초책(楚策)』에 나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초나라 혜왕 때, 재상 장의(張儀)의 계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신하 굉택(閎賊)이 왕에게 간언했다.“.. 2025. 11. 12.
우이독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牛耳讀經(우이독경)은“牛(우): 소”, “耳(이): 귀”, “讀(독): 읽다”, “經(경): 경문(經文)”이라는 뜻으로,“소의 귀에 경문을 읽는다”, 즉 아무리 이치에 맞게 타이르고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한 사자성어다.이는 듣는 이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들으려 하지 않는 상황을 풍자할 때 사용된다.우이독경의 뜻과 유래우이독경의 정의우이독경은 아무리 가르쳐도 소용이 없는 경우, 혹은 이해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는 사람에게 헛수고하는 행위를 뜻한다.의미아무리 일러주고 설명해도 알아듣지 못함.가르침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함.노력의 헛됨, 말의 무의미함을 상징.사용 맥락꾸준히 충고해도 달라지지 않는 사람에게.배우려는 자세가 없는 제자나 부하에게.진심 어린 조언이 귀담아지지 않을 때.우이독경.. 2025. 11. 10.
구미속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狗尾續貂(구미속초)는“狗(구): 개”, “尾(미): 꼬리”, “續(속): 잇다”, “貂(초): 담비”라는 뜻으로,‘개 꼬리를 담비의 꼬리에 이어 붙인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다.즉, 앞부분은 훌륭하지만 뒷부분이 초라하게 이어지는 경우, 또는 좋은 일의 뒤를 좋지 않은 일이 잇는 상황을 비유한다.구미속초의 뜻과 유래구미속초의 정의구미속초는 처음은 훌륭하지만 끝이 초라하거나 어울리지 않게 망가진 일의 흐름을 비유하는 말이다.의미훌륭한 것 뒤에 하찮은 것이 이어져 품격이 떨어지는 일.좋은 시작에 비해 결과가 실망스러운 경우.앞뒤의 조화가 깨진 상태나 격이 맞지 않는 조합.사용 맥락작품의 앞부분은 뛰어나지만 결말이 허술할 때.인사나 정책에서 훌륭한 사람 뒤에 무능한 인물이 이어질 때.연설이나 글의 초반은 웅장.. 2025. 11. 9.
계명구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鷄鳴狗盜(계명구도)는“鷄(계): 닭”, “鳴(명): 울다”, “狗(구): 개”, “盜(도): 도둑질하다”라는 글자 그대로,“닭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도둑질하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보잘것없는 재주나 하찮은 기술이라도 상황에 따라 큰일을 해낼 수 있음을 뜻한다.계명구도의 뜻과 유래계명구도의 정의계명구도는 본래 하찮게 보이는 재주라도 적재적소에 쓰이면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또한 때로는 도둑질이나 속임수처럼 정당하지 않은 수단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경우를 뜻하기도 한다.의미닭 울음소리를 흉내내거나 개처럼 남의 물건을 훔치는 하찮은 재주.하지만 위급한 상황에서는 작은 기술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음.본래 긍정과 부정의 뉘앙스를 모두 갖는 표현.사용 맥락지혜롭거나 대단한 능력이 아니라도.. 2025. 10. 16.
과이불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過而不改(과이불개)는“過(과): 허물, 잘못”, “而(이): 그리고”, “不(불): 아니하다”, “改(개): 고치다”라는 글자 그대로,“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도 반성하거나 고치지 않는 태도를 강하게 경계하는 표현이다.과이불개의 뜻과 유래과이불개의 정의과이불개는 단순히 실수를 저지른 것보다 더 큰 잘못이 ‘고치지 않는 태도’에 있다는 사상을 담고 있다.고대 동양에서 ‘허물을 고치는 것(改過)’은 덕목 중에서도 핵심으로 여겨졌으며,이 사자성어는 그러한 가치관의 정수를 압축한 말이다.의미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 것.반성이나 개선 의지가 없는 태도.오류를 인식하고도 외면하는 무책임함.사용 맥락리더나 조직이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 때.개인이 고질적인.. 2025. 10. 16.
소탐대실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小貪大失(소탐대실)은“小(소): 작다”, “貪(탐): 탐하다”, “大(대): 크다”, “失(실): 잃다”라는 글자 그대로,“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을 담은 고사성어다.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하여 더 크고 본질적인 가치를 놓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표현이다.소탐대실의 뜻과 유래소탐대실의 정의소탐대실은 눈앞의 작은 이익에 집착하거나 탐욕을 부리다가, 오히려 더 크고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는 상황을 비유한다.이는 인간의 근시안적 욕심과 어리석은 선택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말이다.의미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욕심이 지나쳐 본질을 잃는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즉흥적이고 단기적인 판단이 장기적인 손해를 가져온다는 경고.사용 맥락경제적 선택에서 단기 이익만을 좇을 때.인간관계에서 사소한 감정.. 2025.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