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기3

完璧 완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完璧(완벽)은 흠이 없이 완전하다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며, 본래는 귀중한 옥(璧)을 온전한 상태로 돌려주었다는 역사적 고사에서 유래한다. 오늘날에는 어떤 사물이나 상태가 결점 없이 완전함을 뜻할 때 주로 사용되지만, 본래 의미는 손상 없이 원래대로 돌려준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한자 풀이完(완): 완전하다, 온전하다璧(벽): 둥글고 구슬처럼 귀한 옥⇒ "귀중한 옥을 온전히 (돌려줌)"유래와 배경《사기(史記)》 「염파인상열전」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조나라에 "완벽지옥(完璧之玉)"이라 불릴 만큼 아름답고 귀한 옥이 있었는데, 진나라가 그것을 원하며 성 15개와 바꾸자고 제안하였다. 조나라는 신중히 고민한 끝에 인상여(藺相如)를 사신으로 보냈다. 인상여는 진나라가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것을 염려해 꾀.. 2025. 6. 8.
수구초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首丘初心(수구초심)은 근본을 잊지 않고 고향이나 본래의 마음을 그리워하는 정서를 나타내는 고사성어다.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언덕을 향해 머리를 돌린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곳이나 본래의 마음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다.한자 풀이首(머리 수): 머리丘(언덕 구): 언덕, 고향初(처음 초): 처음, 본래心(마음 심): 마음⇒ 죽을 때조차 고향을 잊지 않는 본연의 마음, 근본에 대한 회귀유래와 배경『사기(史記)』 「노중열전(魯仲列傳)」에 따르면, “여우는 죽을 때 반드시 머리를 자기가 살던 언덕 쪽으로 돌린다(狐死必首丘)”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은 자연의 섭리처럼 생명은 본래의 근원을 그리워하며 회귀하려는 속성을 지닌다는 철학적 사유로 발전하였다.현대적 의미와 활용1. 고향을 .. 2025. 5. 28.
지록위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指鹿爲馬(지록위마)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권력을 이용해 억지로 거짓을 참인 양 강요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고의적인 진실 왜곡, 강압적 언론 통제, 권력의 남용 등 다양한 사회적 부조리를 상징하며, 시대를 초월하여 경계해야 할 태도를 상징한다.한자 풀이指(지): 가리킬 지鹿(록): 사슴 록爲(위): 할 위, ~로 여기다馬(마):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유래와 배경지록위마는 《사기(史記)》의 ‘진시황본기’와 ‘이사열전’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진나라의 2대 황제인 호해가 즉위하자, 권력자인 환관 조고(趙高)는 자신의 권력을 시험하고자 사슴을 황제에게 바치며 말했다.“이는 말이옵니다.”황제가 “이건 사슴이 아닌가?”라고 하자, 조고는..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