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4

자가당착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家撞着(자가당착)은 한 사람이 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고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는 상황을 뜻한다. 말 그대로 "스스로 충돌한다"는 의미로,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주장이나, 처음에 한 말과 나중의 말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를 경계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家(가): 자기, 자신撞(당): 부딪치다, 충돌하다着(착): 닿다, 맞다⇒ "자기 말이나 행동이 자기 자신과 충돌하다"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난세편(難勢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초나라에 창과 방패를 파는 장수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방패가 너무나 튼튼하여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고 자랑했고, 이어서 자신의 창은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다고 선전했다. 이를 들은 사람이 "그렇다면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 2025. 6. 8.
고장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孤掌難鳴(고장난명)은 혼자서는 일을 이루기 어렵다는 의미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다. 글자 그대로는 "외로운 손바닥은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뜻으로, 어떤 일도 상대가 있어야 성사될 수 있으며, 관계와 협력이 필수적임을 일깨워주는 말이다.한자 풀이孤(외로울 고): 외롭다, 혼자掌(손바닥 장): 손바닥難(어려울 난): 어렵다鳴(울 명): 울리다, 소리를 내다⇒ 외로운 손바닥은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의미.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편(說林篇)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孤掌難鳴”이는 손뼉을 치려면 두 손이 필요하듯, 혼자의 힘만으로는 어떤 일도 완전하게 이루기 어렵다는 교훈을 전한다. 특히 정치나 인간관계, 사회생활에서 상호 협력과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할 때.. 2025. 5. 25.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나 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한자 풀이逆(역): 거스를 역鱗(린): 비늘 린⇒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2025. 5. 14.
수주대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守株待兔(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우연한 행운에 기대어 수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옛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수주대토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守(수): 지키다株(주): 그루터기待(대): 기다리다兔(토): 토끼유래 배경《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송나라 농부가 밭을 갈던 중, 우연히 달려오던 토끼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는 힘든 농사보다 이런 행운을 다시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다음 날부터는 농사를 그만두고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히길 기다린다.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오지 않았고, 그는 농사도 망치고 생계도 끊기고 말았다...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