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2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나 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한자 풀이逆(역): 거스를 역鱗(린): 비늘 린⇒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2025. 5. 14.
수주대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守株待兔(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우연한 행운에 기대어 수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옛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수주대토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守(수): 지키다株(주): 그루터기待(대): 기다리다兔(토): 토끼유래 배경《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송나라 농부가 밭을 갈던 중, 우연히 달려오던 토끼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는 힘든 농사보다 이런 행운을 다시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다음 날부터는 농사를 그만두고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히길 기다린다.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오지 않았고, 그는 농사도 망치고 생계도 끊기고 말았다...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