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비자7

삼순구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三旬九食(삼순구식)은"三(삼): 셋", "旬(순): 열흘", "九(구): 아홉", "食(식): 밥 먹다"라는 글자 그대로,‘한 달 동안 아홉 번밖에 밥을 먹지 못한다’는 뜻의 고사성어다.이는 극심한 가난과 궁핍함 속에서 끼니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다.삼순구식의 뜻과 유래삼순구식의 정의삼순구식은 매우 가난하거나 형편이 어려워 자주 굶는 처지를 가리킨다.단순한 ‘가난함’이 아니라, 삶의 기본조차 유지하기 힘든 궁핍한 상태를 묘사할 때 쓰인다.의미한 달에 겨우 아홉 끼만 먹는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형편.빈곤하여 끼니를 자주 굶거나, 생계가 막막한 상태.극도의 생활고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사용 맥락가난한 생활을 인내하며 버티는 사람을 묘사할 때.예술가나 학자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2025. 11. 11.
신상필벌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信賞必罰(신상필벌)은"信(신): 믿을 신", "賞(상): 상줄 상", "必(필): 반드시 필", "罰(벌): 벌할 벌"이라는 글자 그대로, “상을 줄 것은 반드시 주고, 벌할 것은 반드시 벌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공정한 상벌의 원칙을 지켜야 나라와 조직이 바로 선다는 의미로, 통치나 리더십의 근본 원리를 상징한다.신상필벌의 뜻과 유래신상필벌의 정의신상필벌은 공로에는 반드시 상을 주고, 죄에는 반드시 벌을 내리는 원칙적인 태도를 뜻한다.이는 공정한 평가와 확실한 보상·징계의 균형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사회나 조직의 질서를 유지하는 핵심 가치다.의미공과(功過)를 명확히 구분하여 공정하게 상벌을 시행함.법과 규율에 따라 누구에게나 일관된 처벌과 보상이 이루어짐.리더가 신뢰를 얻기 위한 필수 조건... 2025. 10. 26.
각자무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角者無齒(각자무치)는"角(각): 뿔", "者(자): 사람", "無(무): 없다", "齒(치): 이빨"이라는 글자 그대로,“뿔이 있는 자는 이가 없다”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모든 것을 다 가질 수는 없으며,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다는 인생의 진리를 비유적으로 나타낸 표현이다.각자무치의 뜻과 유래각자무치의 정의각자무치는 완벽한 존재나 완전한 조건은 세상에 없다는 이치를 담은 말이다.어떤 존재가 뿔이라는 무기를 지녔다면, 그 대신 이빨은 갖지 못했듯이,한쪽의 장점을 가지면 다른 쪽의 것을 잃게 되는 자연의 균형 원리를 나타낸다.의미모든 장점을 한 몸에 지닐 수는 없다.강점이 있으면 반드시 약점이 따른다.세상에 완전무결한 존재는 없다.사용 맥락누군가가 ‘모든 것을 갖추려는 욕심’을 가질 때 경계의 의.. 2025. 10. 25.
자가당착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家撞着(자가당착)은 한 사람이 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고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는 상황을 뜻한다. 말 그대로 "스스로 충돌한다"는 의미로,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주장이나, 처음에 한 말과 나중의 말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를 경계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家(가): 자기, 자신撞(당): 부딪치다, 충돌하다着(착): 닿다, 맞다⇒ "자기 말이나 행동이 자기 자신과 충돌하다"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난세편(難勢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초나라에 창과 방패를 파는 장수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방패가 너무나 튼튼하여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고 자랑했고, 이어서 자신의 창은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다고 선전했다. 이를 들은 사람이 "그렇다면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 2025. 6. 8.
고장난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孤掌難鳴(고장난명)은 혼자서는 일을 이루기 어렵다는 의미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다. 글자 그대로는 "외로운 손바닥은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뜻으로, 어떤 일도 상대가 있어야 성사될 수 있으며, 관계와 협력이 필수적임을 일깨워주는 말이다.한자 풀이孤(외로울 고): 외롭다, 혼자掌(손바닥 장): 손바닥難(어려울 난): 어렵다鳴(울 명): 울리다, 소리를 내다⇒ 외로운 손바닥은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의미.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편(說林篇)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孤掌難鳴”이는 손뼉을 치려면 두 손이 필요하듯, 혼자의 힘만으로는 어떤 일도 완전하게 이루기 어렵다는 교훈을 전한다. 특히 정치나 인간관계, 사회생활에서 상호 협력과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할 때.. 2025. 5. 25.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나 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한자 풀이逆(역): 거스를 역鱗(린): 비늘 린⇒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