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수진2

건곤일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乾坤一擲(건곤일척)은 하늘과 땅, 곧 운명의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주사위를 던지는 것을 뜻하는 말로, 인생이나 어떤 중대한 일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을 때 최후의 결단을 내리는 절박한 승부를 가리킨다. 위험을 감수하고 모든 것을 걸어 최종적인 결과를 노리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다.한자 풀이乾(건): 하늘 (하늘을 상징하는 주역의 팔괘 중 하나)坤(곤): 땅 (땅을 상징하는 팔괘)一(일): 하나, 단 한 번擲(척): 던지다⇒ "하늘과 땅, 곧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던진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등장하는 중국 초한지 시대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초나라의 명장 항우(項羽)는 한고조 유방(劉邦)과 천하를 두고 다투다가, 해하(垓下)의 전투에서 패하.. 2025. 6. 9.
이판사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理判事判(이판사판)은 도무지 방법이 없어 아무렇게나 되는 대로 행동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이다. 원래는 승려 조직 내의 직책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자포자기한 심정에서 모든 것을 내던지는 태도를 비유하는 데 더 자주 쓰인다.한자 풀이理(다스릴 이): 이치, 관리判(판단할 판): 판단하다, 결정하다事(일 사): 일, 사건判(판단할 판): 판단하다, 결정하다⇒ "이판이나 사판이나 다 마찬가지다"는 뜻에서, 더는 구분하거나 따지지 않고 막 나가는 태도를 의미함.유래와 배경고려 및 조선시대 불교에서, '이판(理判)'은 교리와 수행을 담당하는 스님들, '사판(事判)'은 사찰의 살림과 행정을 맡은 스님들을 지칭하였다. 둘 사이의 역할은 분명히 나뉘었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이도저도 가릴.. 2025. 5. 21.